지금까지의 문헌을 검토했을 때 현행 국가암조기검진사업은 비용 대비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지만 근거 기반 검진을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소화기학회는 22일 쉐라톤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린 2013년 추계 소화기연관학회 합동학술대회에서 지난 15년간 소화기암 분야에서 검진사업이 어떤 성과를 가져왔으며,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 사업은 1999년 첫 시행 후 꾸준히 보장성을 확대해 현재 의료급여 수급자와 건강보험 가입자 하위 50%에 해당하는 국민에게 5대암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무료 검진 대상자가 아닌 사람도 본인부담금 10%만 내면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해 수검률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선별검사는 일반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비용 부담이 커 이같은 정책이 얼마나 큰 효과를 거두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고찰이 필요하다.

국립암센터 위암센터 최일주 박사는 검진 대상이 되는 암종은 건강에 중요한 문제를 일으켜야 하고 무증상기가 길어 그 기간에 발견할 수 있어야 하며 적절한 치료법과 검사법이 있어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고 했다. 이 때 함께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근거에 바탕을 둬 사용해야 한다는 비용 효과 측면의 조건도 고려돼야 한다.

그러나 검진에 따르는 삐뚤림을 무시할 수 없어 혜택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검진에 참여하는 사람은 더 건강하고 나은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screening bias), 암으로 인한 사망 시점은 동일하지만 검진으로 암을 조기에 발견한 기간 만큼 생존기간이 늘어난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lead-time bias). 또 예후가 좋은 암이 검진에서 주로 발견되는 삐뚤림(length bias)도 있을 수 있다.

울산의대 임영석 교수(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는 국가검진사업에 대한 비판을 잠재적 유해성과 제한점 두 가지로 요약했다. 위양성으로 인한 라벨링 효과나 과잉진단으로 불필요한 치료가 늘 가능성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검사법 자체가 가지고 있는 위음성이 한계로 작용할 수 있고, 검진사업을 통해 사망률이 준다는 근거가 적다는 점도 발목을 잡는다.

최 박사는 앞으로 검진을 통한 사망률 감소 효과와 조기에 발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삶의 질까지 고려한 비용 효과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검진 방법에 대한 개선점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했다.

임 교수는 대상자 선정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예를 들어 간암은 현재 만 40세 이상 남녀로 간경변증이 있거나 B형/C형간염 바이러스항체 양성일 때 6개월 주기로 간초음파검사와 혈청알파태아단백검사를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문제는 여기에 추가되는 해당 질병분류 코드로 해당연도 전 2년간 의료 이용한 사람이라는 조건이다.

임 교수는 “코드 등재가 잘못된 환자의 경우 불필요하게 검진을 받는 반면 그동안 병원을 찾지 않았던 환자는 반대로 검진에서 누락되고 있다”면서 “타깃이 되는 인구집단을 명확히해야 한다”고 말했다. 간암 선별검사는 분명 혜택이 있지만 불필요하게 시행되면 잠재적으로 환자에게 유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립암센터 암검진사업과 김 열 박사는 “검진사업 시행 당시 근거가 부족해 전문가 의견에 따라 정한 것이 많았다”면서 “검진을 통해 실제로 사망률이 줄고 있는지 알아야 하며, 근거 중심 지침으로 옮겨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위해 지침을 업데이트 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며 내년 쯤이면 연구 결과를 발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