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정우진 사무관, 외상체계 실태조사 계획 발표



“현재 보건복지부에서는 외상체계의 상황을 파악한 후, 해외사례를 통해 앞으로 어떻게 갈지를 모색하는 중이다.”

29일 제1차 중증외상조사 심포지엄에서 복지부 응급의료과 정우진 사무관은 이같이 밝히면서, “우리나라의 외상시스템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와 산출체계를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전체 외상센터에 대한 자료가 확보되지 않았고, 원인-결과 등을 분석하는 프로토콜이 마련되지 않았다.

때문에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전체가 아닌 몇몇 병원에서만 집계돼 정확한 자료가 아니며, '어떤 문제를 고쳐 어떻게 바꿀지'에 대한 계획조차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 사무관은 “이르면 12월 중순부터 개소되는 권역외상센터 자료를 중심으로 정기적·구체적으로 예방가능한 사망률을 조사하고, 이를 선진국 수준인 15~20% 정도로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실제 복지부에서는 내년부터 권역외상센터를 중심으로 성과평가지표를 시범적으로 산출한 후, 2015년에는 30%, 2016년부터는 40% 정도의 기관을 추출해 예방가능한 사망률에 대한 조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복지부에서는 외상체계의 기본 목표 마련을 위해 일본, 미국 사례를 벤치마킹 중이며, 정 사무관은 “이처럼 기반 마련에 힘쓰고 있으니 현장에서도 많은 의견과 조언을 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현장에서는 '자신의 수준'을 인지하는 것이 효율적인 외상시스템 마련의 첫 출발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외상학회에서 활동 중인 염석란 부산의대 교수는 “자기 병원의 수준을 알아야 한다”며 “응급실에서 환자를 보자마자 '권역외상센터로 보낼지 우리병원에서 치료할지'를 바로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기준을 만드는 것은 많은 고민이 있겠지만, 언제 보낼지, 어떻게 보낼지, 어디로 보낼지 등 병원이 자신들의 수준에 맞게 진료지침, 이송지침, 전원지침 등을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