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헬기 지원·수술팀 미리 구성·인계점에서 최대 처치 등 가능

“중증 외상환자를 전원 시키기 전에 CT 등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먼저 보내준다면, 보다 신속한 처치, 수술로 사망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

29일 제1차 중증외상조사 심포지엄에서 이강현 대한응급의학회 이사장(원주연세의대 교수)는 이같은 지역센터에서 권역센터로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을 제안했다.

이 이사장은 “서울이나 수도권과 달리 지방에서는 권역센터 외에는 중증외상환자를 수술할 수 있는 병원이 거의 없다”면서 “전원이 많이 일어나므로 병원 간 '소통'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즉 전원 시 병원 간의 '벽'을 제거하고, 환자상태를 최대한 빨리, 많이 공유해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가장 빠르게 인근병원으로 이송하는 것이 중요하나, 그 후에는 얼마나 빨리 치료가 이뤄지는가가 '환자의 목숨'과 직결된다면서, “특히 중증외상환자들의 경우 지역병원에서 권역센터로 전원되기 전 영상자료 결과 공유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실례로 응급환자 발생시 가장 근처에 있는 병원으로 이송되는데, 이때 병원들은 환자상태를 보기 위해 CT 등 영상검사를 하게 된다.

만약 해당 병원에서 수술이 불가능하면 권역외상센터로 이들 환자를 이송하게 되는데, 전 병원에서 찍었던 자료를 병원 이송시 센터 의사에게 보내진다면 상당히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이 이사장은 “실제 태백산재병원에서 발생한 환자가 원주기독병원으로 전원되는 사례가 있었다”면서 “이때 산재병원에서 찍은 CT를 기독병원 의사에게 보냈고, 이를 본 의사는 응급헬기를 보내고 그 사이 적합한 진료과 수술팀을 꾸렸다”고 말했다.

그는 “만약 산재병원이 이 환자 전원여부를 알리지 않고 구급차로 올 경우 우리병원까지 3시간이 걸리게 될 뿐 아니라 어떤 준비도 할 수 없다”면서 “하지만 미리 연락해서 △응급헬기를 보낼 수 있었고, △환자 인계점에서 할 수 있는 처치 등을 준비해서 헬기 안에서 진행했으며, △뿐만 아니라 병원에서는 적합한 수술팀을 꾸려 환자가 도착하자마자 바로 수술이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사전작업이 원활하게 이뤄진다면 환자에 적합한 치료를 최대한 빨리할 수 있게 되면서, 예방가능한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사례는 매우 특수했다”면서 “지역에는 가이드라인대로 응급환자를 다루는 곳이 거의 없고 환자 전원에 대한 인지가 부족해 살릴 수 있는 중증외상 환자가 사망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아쉽다”며 지역 내 소통과 책임성을 거듭 강조했다.

또한 이에 대한 재원마련, 지역병원 관계자들의 교육 지원 등을 당부했다. 그는 “지역 외상처치 의사들의 수준이 천차만별이므로 표준화된 교육이 필요하다”면서 “현재 복지부에서 인건비로만 센터에 지원 중인데, 이를 관리비 일부로 전환해 질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덧붙여 병원 이송시 119대원들의 미흡한 준비 자세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그는 "전원될 환자에 대한 병원 간 소통 외에도 병원-119대원 간 환자상태 공유가 필요하다"면서 "예전의 1339처럼 119가 병원 이송 전 소통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견지했다.

현재 1339가 소방방재청에 흡수통합되면서 병원 중심으로 환자에 대한 다양한 자료들을 미리 보내주는 수준이 떨어졌다면서, “아무 연락 없이 오면 준비에만 30분이 넘게 소요된다. 수술 전 팀을 꾸리고 환자 상태를 짐작할 수 있도록 소방방재청과 구급대원들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