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진료후 수술까지 평균 4.3일 소요

중증외상환자가 응급실 진료후 수술까지 걸린 기간이 평균 4.3일로 지나치게 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응급실에서 수술실을 거쳐 중환자실로 입원한 환자의 응급실 체류시간은 평균 242분으로, 중증외상환자의 응급상황발생부터 수술까지 골든타임이 1시간인 것을 고려하면 응급실 체류시간을 줄이는 것이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29일 이같은 결과를 담은 서울·강원지역 2011년 중증외상환자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우리나라의 중증외상환자를 위한 인프라가 취약하고 예방가능한 사망률이 선진국에 비해 월등히 높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지만, 적정 치료가 지연되는 구체적인 통계가 분석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발표에 따르면 응급실을 거쳐 응급수술 후 일반병실로 입원한 환자의 평균 응급실 재실시간은 10.7시간, 응급실에서 일반병실이나 중환자실로 우선 입원한 후 수술한 환자의 수술까지 시간은 6.1일로 분석됐다. 중증외상으로 입원한 환자 2889명 중 중환자치료 또는 응급수술을 받은 환자 비율은 60.3%(1743명)으로, 중증외상환자는 전문적인 치료 비중이 높았다.

중증외상환자 응급실 도착후 타 기관 전원은 11.4%였다. 전원은 환자사정에 의해(41.9%), 상급병원으로(28.2%), 중환자실 부족(14.5%), 응급수술·처치를 할 수 없는 경우(5.5%)였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복지부가 지난해부터 집중 투자하고 있는 것이 중증외상환자의 전문치료시설인 권역외상센터. 이 센터는 시도별 1개 총 17개 센터를 육성하겠다는 것으로, 시설·장비비 80억원과 운영비 최대 27억6000만원을 지원해 중증외상환자의 응급수술·중환자 치료시설·전문인력 확보에 나서게 된다.

지난 2012년 길병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단국대병원, 목포한국병원, 경북대병원을 선정한데 이어 올해는 아주대병원, 을지대병원, 전남대병원, 울산대병원을 지정했다.

보건복지부는 권역외상센터가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권역외상센터 운영지침'과 평가지표를 마련했다.

권역외상센터의 운영지침에는 중증외상환자의 타기관 전원 금지, 중증외상환자 도착 즉시 외상팀의 활성화, 외상전담 전문의의 상주 당직, 지역외상위원회 운영, 주기적 사망사례 분석 등 권역외상센터가 권역 내 예방가능한 사망률 개선을 위한 주요 의무들이 담겨져 있다.

이중 지역외상위원회는 소방, 시·도 공무원, 3개 이상의 타 응급의료기관 대표, 시민단체, 언론 전문가 등으로 구성해 지역 내 중증외상환자의 이송·진료체계 구축을 논의하게 된다.

보건복지부는 권역외상센터의 주요 평가지표로 "해당 시도의 중증외상환자의 예방가능사망률의 개선정도"를 활용할 방침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 번도 시도별 중증외상환자의 예방가능한 사망률이 분석된 것이 없다. 우리나라 전체의 예방가능한 사망률(2010년 35.2%) 역시 상대적으로 외상진료 인프라가 높은 응급의료기관 20개소(사망환자 446명)가 대상이어서 대표성이 낮다는 지적이 있었다.

보건복지부는 올해부터 시도별 예방가능한 사망률을 포함해 대표성 있는 예방가능사망률을 도출, 권역외상센터의 성과평가지표로 활용할 예정이다.

권역외상센터로 선정된 지역의 예방가능 사망률을 우선 산출하되, 대상 분석기관을 약 130개소로 확대하여 자료의 신뢰성·대표성을 크게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올해는 인천, 강원, 충남, 전남, 대구, 부산의 예방가능사망률을 도출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분석 기관수를 늘릴 경우 예방가능한 사망률은 현재 35.2%보다 훨씬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증외상환자의 예방가능 사망률은 질병관리본부가 올해부터 매년 수행·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29일 프레지던트호텔 슈벨트홀에서 제1차 중증외상조사 심포지엄을 소방방재청과 공동으로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는 ▲권역별 중증외상 등록조사사업 현황과 과제 ▲지역사회·구급단계·병원단계별 전략을 주제로 2011년 중증외상 시범조사(서울·강원) 결과를 공유하게 되며, 정부 부처의 향후 계획 및 분야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게 된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