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2013]김성주 의원, 전문의 수도권 편중 문제 지적

전체 전문의 가운데 52%가 수도권에 몰려있고, 응급의학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와 같은 필수 전문의가 없는 지역이 76곳이나 되는 등 지역별로 의료인력 및 의료접근성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위원회 김성주 의원(민주당)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시·도별 전문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국 전문의 중 서울에 27.7%가 근무하고 있으며, 경기 19.7%, 부산 8% 등에 근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전체 전문의의 52%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제주도와 세종시를 제외한 인구 100만 이상의 시·도 중에서는 울산이 1.8%의 비율로 가장 의사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7월 기준 우리나라 총 전문의 수는 7만4085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가장 많은 2만0505명으로 나타났고, 경기 1만4581명, 부산 5909명 등의 순이었다. 제주도와 세종시를 제외한 인구 100만 이상의 시·도 중 전문의가 가장 적은 지역은 울산이었다. 서울과 울산의 전문의 수는 무려 15배가 나는 수치다.

수도권에 의사가 몰려있지만 시·도별 인구 천명당 전문의 수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천명당 전문의 수는 1.45명으로, 이는 2011년 OECD 평균인 3.2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2.02명, 광주 1.78명, 대전 1.72명, 부산 1.67명, 대구 1.64명 등의 순이었다. 특히 전문의 수가 많기로는 12번째이던 충남이 인구 천명당 전문의 수는 1.12명으로 세종시를 제외하면 사실상 가장 의료 인력이 적은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울산, 인천, 경북의 세 곳이 1.14명의 근사한 값을 나타내며 의료 인력이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없는 지역이 강원 8곳, 경남 7곳, 경기 5곳, 부산 5곳 등 전국적으로 50곳인 것으로 드러났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없는 지역은 경남 4곳, 경북 4곳, 충북 3곳 등 총 15곳으로 나타났다. 산부인과 전문의가 없는 지역은 경북 3곳, 경남 3곳, 강원 2곳 등 11곳이었다.

김성주 의원은 "농어촌, 오지는 한시간 이상 이동해야 제대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 빈번하다. 특히 의료취약지역의 응급환자나 임산부의 경우 위험할 수 있다"며 " 정부는 의료서비스의 지역불균형 해소를 위해 의료 취약지 근무 의사들에 대한 인센티브 및 취약지 해소방안 등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