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호르몬 처방률이 크게 증가하는 가운데 중등도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도 레보티록신으로 치료해야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무증상 갑상선 기능 부전 환자의 과다 치료 논란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미국임상내분비학회와 미국갑상선학회는 갑상선 자극 호르몬(티로트로핀) 수치가 10mIU/L 이하이거나 갑상선 기능 부전 증상이 뚜렷한 경우, 갑상선 자가 항체가 양성인 경우, 아테롬성동맥경화증 또는 심부전 근거가 있는 경우 레보티록신 사용을 고려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무증상 환자 치료에 대해서는 아직 근거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명확한 답을 내리긴 어렵다.

영국 카디프대 Peter Taylor 교수팀은 7일 JAMA Internal Medicine 온라인판에 후향적 연구 결과를 발표, "약물 치료 시작점에서 환자들의 평균 티로트로핀 수치가 시간이 지날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환자 중 6% 가량에서는 약물 치료 시작 5년 이내 티로트로핀 수치가 0.1mIU/L 미만으로 억제돼 위험 대비 혜택을 따져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티로트로핀 수치가 억제된 환자에서는 골절이나 심방세동과 같은 공존이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영국임상연구데이터링크에 등록된 5만2298명 자료를 바탕으로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진행했다.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59세였고, 2001년 1월 1일부터 2009년 10월 30일 사이 레보티록신 처방을 받았다.

분석 결과 연구 기간동안 연간 레보티록신 신 처방률은 1.74배 증가했고 약물 치료 시작점에서 티로트로핀 수치는 2001년 8.7mIU/L에서 2009년 7.9mIU/L로 낮아졌다. 추가 분석에서 의사들은 2001년 대비 2009년 티로트로핀 수치가 10mIU/L 미만인 환자에서 레보티록신 처방을 더 많이 처방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심질환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는 고령 환자군에게 티로트로핀 수치 10mIU/L 미만일 때 레보티록신 처방이 더 많았다.

더불어 연구팀은 약물 치료 시작 5년 이내 티로트로핀 수치가 0.1mIU/L 미만으로 억제되는 환자 비율이 5.8%나 되는 것을 확인했다. 치료 5년 후 티로트로핀 수치 억제 위험이 예측되는 베이스라인 요인으로는 여성(OR 1.57, P=0.002), 피곤함(OR 1.51, P=0.005), 우울증(OR 1.63, P=0.04) 등이 있었다. 반면 심질환 위험 요인이 있었던 환자에서는 티로트로핀 억제 위험이 낮았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미국 헨리포드병원 Michael Singer 박사는 "아직 무증상 갑상선 기능 부전 치료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어떤 환자군이 치료에 적합한지 또는 적합하지 않은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해야 하는지, 아니면 치료하지 말아야 하는지 알 수 없다"면서 "대규모 전향적 연구가 시행되기 전까지 주요 의문을 해소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의사들에게는 치료에 가장 혜택이 클 것으로 보이는 환자군 선별과 개별화된 치료 접근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

Talyor 교수는 "최근 영국에서는 티로트로핀 수치가 경계선에 있는 환자에서도 레보티록신을 널리 처방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하지만 이 환자군에서의 약물 치료 혜택은 근거가 제한적이며 치료 후 티로트로핀 수치 억제 발생 위험이 높아 잠재적으로 치료가 유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위험 대비 혜택을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대규모 전향적 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필요하다고 결론내렸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