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15일 시작한 한국신생아네트워크(Korean Neonatal Network : KNN)가 출범 6개월째를 맞았다. KNN은 출생 체중 1500g 미만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를 대상으로 출생시부터 생후 3년까지 추적해 관리하는 등록사업이다.

이 같은 등록사업이 필요하게 된 이유는 저출산시대인데 미숙아 출생도 함께 증가했기 때문이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993년도 929명이던 신생아 사망자가 2011년 2935명으로 300% 이상 급증했다. 결국 미숙아를 잘 살리는 기술 개발이 중요해 진 것이다.

일본이나 미국 등 선진국은 오래 전부터 극소저체중아 출생아를 관리해 온 것에 비해 우리나라는 2000년대에 들어서서 비로서 극소저출생 출생아 관리를 시작했다. 문제는 미국이나 일본 등에 비해 생존률이 낮다는 점이다. 일본은 2003년도에 이미 생존율 89%를 기록한 바 있다.

KNN의 목표는 저출신 시대이 고위험 신생아에 대한 근거를 바탕을 둔 새로운 치료법 및 관리방법을 제공해 신생아의 생존률율 향상과 장기적인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것이다. 또 극소 저체중 출생아를 비롯한 고위험 신생아군의 인구 의학적, 의료관리적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보건관리정책 수립에 활용하는 것이다.

이번 등록사업은 총 5년 동안 추진되는 사업이다. 전국적 연구 네트워크 구성을 시작으로 극 소저출생 출생아의 추적 관찰 등록, 다기관 코호트 연구의 인프라 구축 등의 사업이 추진된다.

특히 초기 3년 동안은 전국적인 네크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2015년까지는 극소 저체중아 등록사업을 중점적으로 실시하는데 전국적 네트워크을 구축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분만부터 환자 정보를 수집해 추후 교정 18개월, 36개월까지 추적조사를 하게 된다.

KNN의 상근 실행위원인 성균과의대 소아청소년과 장윤실 교수는 "올해는 등록사업 기반을 구축하는 해로 전자임상연구기록(e-CRF)을 개발하고 교육 홍보, 파일럿 등록사업 등을 실시할 계획"이라며 "내년에는 전국 50개 병원으로 등록을 확대하고 연간 리포트를 발행하고, 2015년에는 추적등록 및 밴치마킹 지표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올해 약 1000명, 내년 2200명, 2015년에 3100명 정도가 등록사업에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 교수는 이 등록사업에 참여 했을 때 장점은 자신의 병원 현황을 전국 데이터와 비교한 객관적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 또 KNN의 데이터를 활요한 연구가 가능한 것도 강점이라 말했다. 환자수가 부족해 연구가 어려운 병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란 얘기다.

장 교수는 "기존의 DB를 이용한 단면적 연구 및 후향적 연구, 향후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국 또는 다기관 수준의 전향적 무작위 임상연구도 가능하다"며 "미국, 일본, 캐나다, 호주 등 기존의 국제 네트워크 자료와 비교 가능한 항목별 기준을 적용해 국제 협력연구도 할 수 있다"고 장점을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