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패혈증이나 패혈증성 쇼크는 30일 내 사망률이 20~30%에 이르는 심각한 질환임에도 일반인의 인지도가 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김규석·이재혁, 경상대병원 강창우 교수팀이 11일 '세계 패혈증의 날(12일)'을 맞아 분당서울대병원과 경상대병원에서 실시한 폐혈증 인지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대상자인 응급실 내원객 1081명 중 패혈증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는 일반인은 27.3%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76.9%가 패혈증을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했으나, 어떤 질환인지를 묻는 항목에서는 그 중 35%만이 답을 맞췄다. 또 전염병이 아닌 패혈증을 전염성 질환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무려 71.7%에 달했다.

반면 급성심근경색과 뇌졸중은 각각 94.3%, 96.9%가 질환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어떤 질환인지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경우도 각각 80%, 9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각 질환에 대한 사망률 역시 실제와 다르게 알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 질환의 30일 내 사망률은 중증패혈증(20~30%), 뇌졸중(9.3%), 급성심근경색(2.7-9.6%) 순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번 설문에서는 응답자의 59.7%가 패혈증보다 급성심근경색의 사망률이 더 높은 것으로 알고 있었으며, 뇌졸중의 경우에도 41%가 패혈증보다 뇌졸중의 사망률이 더 높은 것으로 잘못 인지하고 있었다.

현재 국내 패혈증에 관한 정확한 데이터는 없지만, 외국은 패혈증의 한해 발생률을 10만명당 300~1000명으로 보고 있다. 급성 심근경색증 208명, 뇌졸중 104명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분당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김규석 교수는 "중증패혈증과 급성심근경색, 뇌졸중은 모두 사망률이 높고 6시간 이내의 응급처치가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환들이지만, 패혈증은 다른 중증 질환에 비해 잘 알려져 있지 않고 있다"며 "패혈증을 알고 있다고 답한 사람의 약 70% 이상이 대중매체 또는 인터넷을 통해 접한 것으로 답한 것을 고려했을 때, 일반인들의 패혈증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홍보가 이뤄져야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