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장기이식센터 3곳 중 2곳은 신장이식 대기자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 프로그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장기이식센터 양재석 교수팀이 전국 35개 장기이식센터를 조사한 결과 35%만이 신장이식 대기자를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암이나 심장병과 같은 합병증에 대해서는 각각 63%와 17%만이 검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KONOS)에 의하면 국내에서는 매년 1000여명의 환자가 신장이식 대기자로 등록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신장이식 대기자는 1만 2300명이었으니 실제 뇌사자 신장이식은 768건에 불과했다.

이런 상황에서 신장이식 대기자는 심장질환, 감염, 암 등의 발생률이 일반인보다 높고, 최근에는 대기자 중 당뇨병 환자와 고령 환자가 늘고 있다는 점이다.

양 교수는 "이식 대기자들이 4~5년을 기다린 후 어렵게 신장이식 받을 순서가 와도, 이식 받을 몸 상태가 안 되어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며 "이식 대기자들의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마련이 중요하다" 강조했다.

또 "우리나라는 대기자에 비해 뇌사 기증자가 부족해, 신장이식을 받으려면 평균 4~5년을 기다려야 한다. 이 기간 동안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대기자가 많은 것이 현실"이라며 안타까워 했다.

따라서 더 많은 의료기관이 이식 대기자의 건강관리와 이식 준비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 프로그램 마련이 절실하다는 게 양 교수의 설명이다.

신장이식 대기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장기이식센터에서는 전용 외래를 개설하고, 전담 의료진이 정기적으로 건강상태와 이식 준비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특히 신장이식 대기자를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나눈 후, 간, 유방, 자궁경부, 피부, 폐, 전립선, 신장, 뼈, 심장, 감염 등에 대해 개인 맞춤형 정기 검진을 권장하고 이상이 발견되면, 조기에 치료하고 있다. .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