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젊은층에서 목디스크 환자 역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른 진료비는 한해에 약 1900억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7년~2011년까지 근골격계질환인 목뼈원판장애(목디스크·M50)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57만3912명에서 78만4131명으로 5년간 연평균 8.1% 증가했다.

2008년, 2009년, 2010년에는 각각 전년대비 5.0%, 8.3%, 7.0% 증가했으나, 2011년에는 전년대비 12.3% 올라 다른 해에 비해 증가폭이 컸다.

목디스크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7년 1150억원에서 2011년 1866억원으로 1.6배 증가했으며, 입원은 570억9300만원, 외래 926억3600만원, 약국 207억8800만원을 기록했다.

공단 일산병원 신경외과 장호열 전문의는 "일반적으로 목디스크를 유발하는 흔한 요소로는 작업 강도, 자세, 연령, 흡연 등이 있다"면서 "이외에도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전반적으로 목디스크를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뿐만 아니라 건보 적용 확대와 민간보험 가입 증가로 진료비 부담이 덜해지는 것도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했고, 또 수술만이 아닌 통증차단술, 운동치료, 수핵성형술 등의 최소 침습적인 치료법의 개발로 진료가 늘어났다고 판단했다.



특히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연령대는 20대 남성으로 연평균 7.7% 증가했고, 20대 여성 7.6%, 80세 이상 여성 6.9%, 30대 남성 6.8%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에 대해 장 전문의는 "2010년경부터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하루 대부분의 시간을 사용하고 있다"면서 "장시간 고개를 숙인 자세는 경추간판에 무리를 줘 결국 경추부 동통, 목 디스크를 일으키는 요소가 된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걸을 때 하중이 수직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목을 숙이고 걸으면 경추부에 전달되는 하중은 경추간판의 변성을 가속화시키게 된다면서, "20대에서 목디스크 환자가 증가하는 많은 원인이 있겠지만, 스마트폰과의 연관이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