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건강검진 등 측정량 요구 시작

1.CT촬영, 어릴수록 여자일수록 암 발생 위험
2."내가 쏘인 방사선량 얼마인가요?"
3.의료기관 자발적 고지 기대 어려워
4.선량관리 여부 따라 피폭량 큰 폭 차이
5."의사가 먼저 깨어나야"
아주 오래된 논란으로 CT, X-ray 등을 찍을 때 이것이 환자의 진단에 더 이로울 것이냐 아니면 CT 등의 촬영으로 인한 방사선 피폭 피해가 더 클 것이냐다.

최근엔 환자들도 자신들의 피폭량을 알아야 한다는 움직임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LG그룹은 임원진 건강검진을 진행하면서 병원에 CT, X-ray 등 각종 장비에 대한 피폭량 명시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모 대학병원 교수는 "LG그룹이 환자 피폭량을 요구하면서 측정이 안 되면 건강검진을 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며 "피폭량을 계산하기 위해 모두들 진땀을 뺐다. 앞으로 삼성이나 다른 대기업들도 환자 피폭량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기업들이 환자 피폭량을 요구하고 있지만 이를 제대로 측정할 수 있는 국내 병원은 거의 없다. 문제점을 인식한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몇 년 전 부터 환자선량권고관리를 시작해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는 듯했다.

490개에 달하는 병원별 CT, X-ray 등의 선량을 비교해 '어린이CT 영상의학검사의 환자선량 권고량 가이드라인'이나 '소아 일반 영상의학검사의 표준촬영 가이드라인' 등을 제시하기도 했다. 여기에 각 병원별 시스템 구축까지 무언가 결과물이 나올듯 한 분위기였다.

그런데 올해 식약청이 식약처로 승격된 뒤 이 업무가 식약처와 질병관리본부로 업무가 나뉘게 되면서 주춤한 상태가 되고 말았다. 식약처 김형수 방사선안전과장은 장치와 관련한 선량은 질병관리본부로 옮겨가고, 환자 선량 관리는 식약처에 그대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

식약처는 선량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고, 질병관리본부는 의료법의 적용을 받는 부분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무가 쪼개지면서 식약처 의료제품연구부 방사선안전과는 3명의 인원 감축이 있었고 이 과정에서 10년 전부터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관리해 오던 이 모 연구원도 손을 놓게 된 상황이라 더 치명적이란 얘기가 나오고 있다.

대한영상의학회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함께 노력하고 있다. 2010년~2011년 전국 500개 병원 서베이를 통해 CT, X-ray 등의 피폭량을 조사해 환자가 얼마 이상의 피폭을 안 된다는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학회 성동욱 방사선안전관리이사는 "모든 의료기관이 방사선 피폭량을 모른다. 이 조사가 선행돼야 한다"며 "500개 병원의 장비의 피폭량을 모두 조사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70% 수준에서 환자가 Chest PA 찍으면 0.34mSv, 요추 AP 3mSv 등의 결과치를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또 "기준이 되는 피폭량이 있어야 개인의원에서도 자신의 수준을 알 수 있고 잘못된 것은 고칠 수 있다"고 말했다.

영상의학회는 2012년 식약처와 일반환자 선량관리를 시작했다. 초기 예산은 20억원이었으나 2012년에는 4억원, 2013년에는 3억5000만원으로 삭감됐다고 한다.

2012년에는 CT부분 선량 관리를 시작했는데 예산부족으로 도시바와 지멘스, GE 등 4개 업체 CT만 했다고 한다. 또 예산부족을 해결하려고 학회가 자체적으로 피폭량을 측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도 했다고 한다.

영상의학회는 올해 2차 사업으로 일반촬영부분 피폭량 조사를 하고 있다. 특히 필름을 쓰는 병원과 CR, DR을 쓰는 병원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성 이사는 "DR은 DAP(Dose Area Produce) 즉 면적에서 받는 방사선량이나오므로 그나마 괜찮은데 필름을 쓰는 곳과 CR을 쓰는 곳이 문제"라고 우려했다.

그는 "올해 영상의학회가 풀어야 할 숙제는 바로 이 것이다. 현재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