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형 암 위험도 평가·환자 추가 정보 확보 강점

■ 다중 유전자 검사
- 검사 필수 타깃 환자군 제시

최근 여배우 안젤리나 졸리가 예방적 양측 유방 절제술을 받은 일은 ASCO에서도 이슈가 됐다. 학술대회에서는
안젤리나 졸리가 BRCA 1 유전자 변이를 확인한 후 예방적 절제술을 받았다는 점에 초점을 맞춘 유전자 검사를 주제로 한 토론 세션이 진행됐다.

이미 유전자 검사는 유전성 암의 예방, 치료, 추적관찰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BRCA1, BRCA2의 유전적 유방 및 자궁암 연관성이 밝혀진 이후 지속적으로 연관성에 대한 근거들이 쌓여왔고, 반드시 검사를 받아야 하는 타깃 환자군도 밝혀졌다.

그런만큼 ASCO에서의 논의는 유전자 검사의 실효성 여부가 아니라 더 나은 유전자 검사 활용 방안에 대한 쪽으로 모아졌다.

시티오브호프병원 Jeffrey N. Weitzel 박사는 "BRCA 유전자는 시간이 갈수록 관련 근거들이 축적돼 왔고, 여성 환자들에서의 인지도가 높아져 왔다"면서 "현재 제시된 정보들이 활용할 수 있는 자료들의 일부분이라는 시각이 제시되고 있다"며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했다.

현재는 한 번에 여러 유전자를 검사할 수 있는 다중 유전자 검사가 임상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는 유전형 암의 위험도 평가에도 효과적이지만, 환자의 추가적인 정보들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펜실베니아대학 알아바마암센터 Susan M. Domchek 교수는 "가능성에 대해 긍정하면서도 검사를 통해 확보한 정보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밝혔다.

즉 다중 유전자 검사패널을 통한 검사가 차세대 시퀀싱(sequencing) 기술이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지만, 이를 활용하는 의사들이 준비가 돼 있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Weitzel 박사는 이번 ASCO에서 발표된 다중 유전자 검사패널에 대한 의사들의 신뢰도를 조사한 연구를 근거로 제시했다. 연구에서는 유전자 검사의 신뢰도에 대해 5점 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단일 유전자 검사를 통한 변이의 확인에 대해서는 4.78점의 신뢰도를 보였지만, 다중 유전자 검사패널을 통한 결과에 대해서는 2.85점로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슬로언-케터링기념암센터 Mark Robson 박사는 이 이유로 정보를 해석하는 데 대한 정확한 모델이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위장암이 없고 유방암이 있는 환자에서 유전자 변이가 나타났다면,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해 답을 줄 수 있는 상담 모델이 없다"고 말했다.

게다가 유전자 검사 결과가 제시하고 있는 정확한 위험도도 확정할 수 없다. 다중 유전자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40%에서 하나 이상의 중요도를 알 수 없는 변이가 발생하고 있지만, '이해도가 낮은 영역'이라며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정보의 분류도 아직 문제다. 한 번에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환자별로 얻고 싶은 정보와 얻지 않아도 되는 정보를 자동적으로 분류하는 건 더 힘들어 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전자 검사가 가지고 있는 혜택에 대해서는 분명히 했다. Robson 박사는 "가족성 갈색세포종과 부신경절종 환자에서는 생식계열에 다양한 유전자 변이가 있지만, 어떤 유전자에 대한 검사를 먼저 시행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어렵다"며 다중 유전자 검사의 효용성을 강조했다.

또 "기존의 시스템들이 유전자 별로 검사를 시행해야 하고, 결과 분석까지도 많은 시간이 걸린다"며, "더 빠르고 저렴하게 환자들이 검사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전문가들은 다중 유전자 검사를 통한 임상적 효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사업 연구를 통한 장기간 관찰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 아세트산 선별검사
- 자궁경부암 사망률 개선 가능성

식초 등 아세트산 검사로 자궁암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자궁경부암은 개발도상국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암 중 하나로 인도의 경우 여성 암환자들의 주요 사인이지만, 인도에서는 세포학 기반 선별검사를 쉽게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더 간단한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인도 뭄바이 타타기념병원 Srinivas Shastri 교수는 아세트산을 활용한 선별검사가 자궁경부암 사망률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발표했다<그림 2>.

연구에서는 35~64세 암병력이 없는 15만여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2년에 한 번 아세트산 검사를 시행하고 12년 동안 관찰했다.

아세트산 선별검사는 천에 아세트산을 묻혀 자궁경부에 문지르고 60초 내의 색깔 변화 여부를 파악하는 것으로, 1차 의료기관에서 시행됐다. 60초 이내에 흰색으로 변한다면 조직이 전기 암으로 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분석 결과 아세트산 선별검사군은 10만명당 26.74명, 대조군은 27.49명이었다.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도 아세트산 선별검사군이 7% 낮았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Shastri 교수는 "의사들이 오기 힘든 지역에서 검사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은 중요한 부분"이라며 바로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도 아세트산 선별검사의 장점으로 꼽았다.

이전 연구들에서는 아세트산 선별검사가 Pap 자궁경부암 검사, HPV DNA 검사 등을 대체할 수 있는 저가의 쉬운 검사방법이라는 결과가 나타난 바 있다.

오하이오주립대학 Electra Paskett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선별검사가 사망률을 감소시켜준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며 저소득국가들을 대상으로 아세트산 검사를 표준 검사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지를 확인하기 위한 대규모 무작위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aTTom·ATLAS 연구 - 장기적 타목시펜 추가요법
- 유방암 재발 15%·사망 위험도 25% 감소

타목시펜의 장기적인 추가요법의 효과를 검증한 aTTom 연구도 관심을 모았다. 영국 옥스퍼드대학 Richard Gray 교수는 aTTom 연구의 업데이트 결과를 발표, "초기 단계의 유방암 환자에게 타목시펜 추가요법을 5~10년 동안 시행한 결과 유방암 재발 및 사망 위험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그림 3>.

연구팀은 최근에 발표된 ATLAS 연구의 대상자들과 조건을 맞춰서 함께 평가했다. aTTom, ATLAS 연구에 포함된 환자군은 1만7477명으로 전체 추적관찰기간 동안 타목시펜을 5년간 투여한 환자들과 10년간 투여받은 환자들을 비교했다.

두 환자군을 비교한 결과 10년 투여군은 5년 투여군보다 사망 위험도가 9% 낮았다. 또 재발 위험도도 15% 더 감소했고, 유방암 관련 사망위험도도 25% 낮았다.

Gray 교수는 "타목시펜의 장기적 사용이 전반적인 위험도는 0.5% 낮췄지만, 자궁내막암의 위험도는 높였다"고 부연했다. 부작용에 관련된 위험도는 크지 않았다.

강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다나파버암연구소 Ann H. Partridge 박사는 "효과적인 초기 요법들이 소개됐지만, 호르몬 양성 유방암 환자에서 나타나는 늦은 시기의 재발은 여전히 주요한 문제"라며, "이번 aTTom, ATLAS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 입증되지 않았던 장기간 효과를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전 연구에서는 타목시펜을 5년간 추가했을 때 유방암 재발 위험도와 사망 위험도를 34%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지만, 환자수의 부족과 불충분한 추적관찰 기간으로 인해 장기간 투여 요법의 효과는 명확하게 입증하지 못했다.

한편 Partridge 박사는 주요하지 않은 부작용들이 시간이 갈수록 커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그는 "환자별로 종양 상태, 종양 생물학적 상태, 동반질환, 연령 등 환자의 상태를 고려해 추가 요법의 잠재적인 혜택을 평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