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협력의 상징이었던 개성 공단 근로자들과 업체들이 철수되는 등 남북 정국이 경색돼 있어 열흘 앞으로 다가온 ‘보훈의 달’은 다른 해보다도 긴장감을 늦출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상황에서 최근 열린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북한 이주민들의 건강과 관련된 연구 결과를 처음으로 발표해 큰 의미와 함께 의학계에 여러모로 시사점을 던져 주고 있다.
 
고려의대 내분비내과 최동섭 교수가 탈북자들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환경인자들의 영향에 관한 데이터를 발표한 것.

최 교수는 "2008년부터 600명의 북한 이주민(탈북자)을 대상으로 연구(NORNS)를 진행중"이라고 설명하고 "북한 이주민이 남한에 정착한 후 영양상태 변화로 체중이 늘고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증가해 당뇨병이나 심혈관질환 급증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또 "저체중 상태에서 5% 이상 체중이 증가한 경우 대사증후군 위험이 9.34배나 증가했으며 이로인해 향후 당뇨병이나 심혈관질환간은 만성질환 위험군으로 고려해 관리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의학적 관점에서 앞으로 있을 통일 시대를 대비해 반드시 우리나라 의학계가 행해야 할 연구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비록 사정상 현지 북한 주민의 임상 데이터가 아니지만 그나마 북한에 거주했던 이주민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향후 질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학적 근거 및 기초 자료를 축적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것이다.
 
의료계는 현실적 어려움은 있지만 북한에 대한 의료 지원은 한정적으로 계속해 왔다. 낙후된 의료장비와 의약품 부족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북한 주민들이 적절한 의료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어 필수 의약품 및 의료 기기를 지원해 오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도 민간 단체가 결핵약을 지원하기도 했다.
 
이러한 지원은 대부분 국제보건의료재단이나 한국건강관리협회, 의협, 민간단체 등을 통한 의료기기 및 기초 의약품 전달 수준에 그친 것이 사실이다. 물론 화해의 분위기가 무르익었던 1999년초부터 2000년대 초까지 소규모이기는 하지만 국내 의학자들이 평양의학과학 토론회에 참가해 의학적 논의를 가진 적도 있다.
 
따라서 이번 북한 이주민을 대상으로 한 질환 임상 연구는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한 셈이다. 결핵과 같은 전염성이 강한 질환의 경우 이번처럼 임상 연구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는 것이 의학계의 중론이다.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는 북한 주민의 건강을 체크하고 통일 시대를 대비한다는 차원에서 북한의료 및 의학과 관련한 국내 의학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인식을 전환할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문정림 새누리당 의원은 "북한 이탈 주민은 미리 보는 우리의 통일 세대로 북한 이탈 주민의 정확한 질병상태 파악을 통한 체계적 모니터링은 통일 후 보건의료시스템의 성공적 통합을 위한 핵심요소"라면서 "북한 이탈 주민의 대한민국 정착 초기, 중·장기 등 시기별 건강상태 추적관리를 위한 맞춤형 검진 및 임상연구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를 위한 연구소 등 제반시설과 의료진 및 연구인력 양성 등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책적, 재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제 남북한의 의료 제도는 물론 임상 데이터 축적을 비롯한 비교 등을 통해 통일의 과정이나 통일 이후에 혼란을 최소화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국민 건강을 책임지는 의학자들이 6월 보훈의 달을 앞두고 이를 논의하고 토의하면서 북한 주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로드맵을 그려 보면 어떨까 ?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