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당뇨병 환자들의 저조한 혈당 조절율이 문제로 떠올랐다.

대한당뇨병학회가 9~11일 진행한 춘계학술대회 및 제1회 한일당뇨병포럼에서는 우리나라의 당뇨병 현황과 국내 당뇨병 환자의 특성을 논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들이 발표됐다.

학술대회 첫 날 '한국 당뇨병의 현황'을 발표한 아주의대 김대중 교수(아주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사회 고령화와 맞물려 2050년에는 당뇨병 환자가 520만명까지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지만 실제 국내 환자들의 혈당 조절율은 30% 미만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당뇨병에 대한 인지도는 70% 전후까지 높아졌고, 치료율도 66.3%로 높아졌지만 실질적인 약물 복용율은 절반 가량으로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환자들이 많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국내 당뇨병 진단률이 정체돼 있다는 점도 해결해야할 문제로 꼽았다. 김 교수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당뇨병 진단률이 2001년 41.3%에서 2007년 70%대에 진입한 이래 2011년 73.9%로 멈춰있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게다가 현재 진단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는 공복혈당 126mg/dL, 당부하후 2시간 혈당 200mg/dL 이상, 당뇨병 증상+혈당 200 mg/dL 이상의 기준에 당화혈색소(A1C) 6.5% 이상이라는 기준이 더해질 경우 환자수는 더 증가할 수도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김 교수는 "A1C 기준을 적용할 경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1년 조사결과 350만명의 환자수는 418만명으로 증가하게 된다"고 부연했다.

저조한 조절률, 잠재 환자군의 조기관리, 숨겨져 있는 환자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답으로 환자와 의사의 교육 프로그램 강화을 제시했다.

그는 "진단률이 비교적 낮은 젊은 연령층에 대한 홍보·교육을 통해 정체된 진단률과 조기관리의 효과를 높이고, 70% 이상의 환자들을 관리하고 있는 1차 의료기관의 환자 교육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주기 위해서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