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학회들 중 절반 가량은 가이드라인에서 비용문제를 명확하게 고려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국 국립보건연구원 생명윤리부 Steven Pearson 박사는 JAMA 5월 3일 온라인판에 발표한 연구를 통해 "1만명 이상의 회원을 가진 최고수준의 학회들 중 절반 가량은 가이드라인 상에서 비용문제를 축소해서 다루거나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게다가 "비용문제를 다룬다고 하더라도 명확하지 않거나 일관성 없는 방법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에서는 2008~2012년 사이 규모가 큰 30개 학회에서 발표한 임상 가이드라인들을 분석했다. 결과 17개 학회는 임상 가이드라인에 비용관련 문제를 다루고 있었고, 4개 학회는 함축적으로만 다뤘고, 나머지 학회는 비용 문제를 배제하거나 언급하지 않았다.

비용문제를 다룬 17개 학회의 가이드라인 279개도 평가했다. 결과 9개 학회는 비용평가를 위한 시스템이 있었지만, 8개 학회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평가했거나, 평가 시스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임상 가이드라인은 전문학회들이 최적의 치료전략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만든 것이지만, 비용 문제로 접근하기 힘들다면 가이드라인의 권고사항이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특히 "보건의료 관련 논의에서 비용문제가 반드시 다뤄줘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지만, 보험 환급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학회들이 가이드라인에서 비용 관련 내용을 다루게 되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혹 가이드라인 내용으로 이어지지 않더라도 결과 도출 과정의 투명성을 보이는 것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연구관련 평론을 쓴 미국심장학회재단(ACCF) 회장인 머시 혁신관리센터 Joseph Drozda 박사는 "최근 학회들이 가이드라인에서 비용문제를 다루는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내과학회(ACP) Steven Weinberger 부회장도 "가이드라인에서 비용문제와 함께 과용 및 오용에 대한 문제를 다루는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