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의학포럼에서 문제 제기


북한에서 국민의 건강상태의 척도라 불리는 영아 사망률과 모성사망률이 극도로 나빠지고, 결핵 발생률 등이 증가하고 있어 우리 국민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8일 ‘최근 북한의 질병양상 및 의료형태의 경향’을 주제로 열린 제2회 통일의학포럼이 국회 입법조사처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서 통일연구원 이금순 선임연구위원은 만성적인 영양부족으로 5세 미만 영유아, 신생아 사망률, 모성 사망률이 심각한 수준이고, 특히 결핵과 말라리아가 위험 수위에 있다고 밝혔다.

또 “결핵과 말라리아는 북한에서도 문제지만 우리나라 국민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활동성 결핵을 앓는 탈북자들이 우리나라에서 활동하면서 결핵이 번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북한에서는 각혈을 해도 병원에 검사를 받으러 가지 못하는 상태고, 군대에서의 결핵도 심각한 상황이다”라며 "글로벌 펀드에서 지원하는 결핵 약은 환자 모두에게 돌아가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우려했다.

서울의대 통일의학센터 이혜원 교수도 북한 결핵의 문제를 제기했다. 이 교수는 탈사회주의 국가에서 결핵은 공통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고, 항생제를 장기간으로 치료해야 하는 결핵의 특징 때문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결핵을 치료하기 위한 글로벌 펀드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결핵에 대해 지원을 하고 있고 북한에 약도 충분히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WHO 자료에 따르면 결핵 발생률과 사망률은 감소하고 있지만 발생률은 감소하지 않고 유지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결핵 프로그램 커버리지가 높고 프로그램내 환자의 최종 결과가 좋아짐에도 결핵 발생률이 감소하지 않는 것은 문제”라며 “치료를 완료했으나 치료를 성공하지 못한 환자의 비율이 높을 수 있고 이는 내성환자가 있음에도 진단되지 못한 것으로 봐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해결하기 위한 묘수는?
빠르게 무너지고 있는 북한의 건강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북 지원에 대한 다양한 의견도 제시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황나미 연구위원은 북한에 지원을 할 때 원칙을 설정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해 국제 사회와 파트너십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연구위원은 “지원이 필요한 곳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한 후 지원을 하고 위기상황을 평가하고 모니터링 하는 등의 접근이 필요하다”며 “북한에 식량만 지원할 것이 아니라 지식이나 기술적 노하우나 교육 프로그램 등을 병행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영양, 안전한 식수, 위생, 건강교육 등 건강과 관련된 기초 요소를 집단시설에 대해 지원과 연계해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