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자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오는 5월부터 교육부와 복지부 협력사업으로 자살 자문의사제도가 실시될 예정이다.

19일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에서 ‘학생정신건강 증진사업과 학교자문의사 모델 및 역할’을 주제로 포럼이 개최됐다.

이 자리에서 한림의대 홍현주 교수(정신건강의학과, 자살과 학생건강연구소장)는 자살과 학생건강연구소에서 오는 5월부터 전국 7개 교육청 10정도 학교에서 자살 자문의사제도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홍 교수는 “지난해 학교에서 자살 선별검사를 전수조사를 했는데 선별 검사 이후의 과정이 없었던 것이 문제였다”며 “올해부터 고위험관리를 좀 더 포커스를 둬서 자살 자문의사제도를 2년 동안 실시한다”고 말했다.

또 “자살과 학생건강연구소에서 시범사업을 관리하고 자문의사를 지정하고 지원하는 일도 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이날 포럼에서는 자살 자문의사제도에 대해 걱정스론 목소리도 나왔다.

중앙의대 이영식 교수(정신건강의학과)는 지금까지 복지부가 진행하는 자살 모델은 모두 탁상공론이라고 비판했다.

이 교수는 교육부는 의사가 학교에 가서 자살 자문을 하길 원하지만 이것은 가장 효과가 없는 모델이라고 비판했다.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수가 턱없이 부족하고 또 학생들이 의사의 상담을 받았다는 것만으로 주변 학생들에게 낙인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교수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와 상담교사, 보건교사 등이 참여하는 지역연합체를 만들어야 한다”며 “지역연합체를 만들면 의사나 교사들이 책임감을 공유할 수 있고 또 다른 사례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개원가 의사들에게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을 것이란 내용도 제시됐다.

디딤클리닉 최상철 원장은 개원의들이 진료를 접고 학교로 갈 수 있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될 수 있을지 의문을 표시했다.

최 원장은 의사가 학교로 가서 상담한다고 해도 비용 대비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효과가 가장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최 원장은 “학교에서 상담교사들이 아이들을 발굴하면 문제학교가 되고 학교장하고 갈등을 겪게 된다”며 “시스템을 먼저 개선하는게 중요하고, 좋은 모델을 만들어야 될 것 같다”라고 강조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에서도 자살 자문의사제도를 준비하고 있다.

동국의대 사공정규(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현재 신경정신의학회에서 자살 자문의제도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100인 위원회’가 여러 가지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사공 교수는 학교 자문의제도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는 학생이나 부모, 교사를 교육하고 지역내 정신건강의학과 병원으로 서비스를 연계하는 사업을 기획하고 또 학교 정신보건정책 개발 및 건의 사항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또 “1차적으로 예방교육과 홍보를 2차 예방으로 교사나 부모 학생에 대한 자문, 3차 예방으로 정신과 치료 및 상담을 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