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불산사고와 같이 대형 화학물질, 화학제품 사용 증가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에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까? 이미 수십년 전부터 선진국에서는 화학물질과 응급정보를 제공하는 중독정보센터, 중독관리센터가 운영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 역시 국가 차원의 독립센터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고려대의료원은 22일 의대본관 유광사홀에서 대한의사협회와 공동으로 ‘태평양 지역의 중독센터에 관한 국제심포지움(International Symposium on National Poison Centers in Pacific Region)’을 개최, 이같이 밝혔다.

고려대병원 응급의학과 이성우 교수는 “중독센터를 통해 각종 화학물질과 화학제품 중독이나 중독 노출에 위험에 대해 상담하고, 관련 정보를 줄 수 있다. 또한 관련 데이터를 국가에서 관리하면서 앞으로 발생할 사고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119 상담전화, 한국소비자원, 의약품안전관리원, 시민을 위한 건강콜 서울 119, 병원 기반에서는 응급실 구반으로 NEDIS, 질병관리본부 6개 병원 사례, 250개 응급의료기관 연합체 ,환경부 산하 CEIS, 식약청 중독정보 시스템 등에서 각종 중독사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러나 현재의 중독정보 시스템은 데이터 자체에 접근하기가 힘들고, 사후 추적, 연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한 지역에 갑자기 콜이 많아지면 위험 경고 알람을 보낼 수 있더라도, 누구를 어떻게 치료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 자체가 없어 사건사고에 속수무책이다.

이 교수는 “공공기관, 병원 등에 흩어져있는 각종 중독 데이터가 합쳐지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도 중독에 대한 시스템을 국가 차원으로 운영, 통합하고 보고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이중의 교수도 “각종 사고가 연쇄적으로 발생하는데도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몇몇 병원들이 환자 중심 임상자료 데이터를 모으고 있지만, 해독제 정보 등의 실질적인 치료정보, 임상 경험에 근거한 정보 등이 부족하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응급의료센터와 통합한 별도의 중독센터가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의협은 중독센터 설치 입법화에 힘을 모으겠다고 다짐했다. 의협 송형곤 공보이사 및 총무이사는 “환경의학, 직업의학 등의 각기 다른 정보를 한데 모으기 위해 중독센터는 필요하다”며 “다만 누가 자금을 내고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제약업체, 농업공업협회, 유해 화학 물질 생산업체 등에서 일정 부분 지원하되, 복지부, 환경부, 노동부, 식약청 등 6~7개의 부처의 통합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부처간 이해관계를 최소화한 채, 법적인 근거를 통해 하나의 독립법인으로 만들어 운영해야 정책 추진에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안전국 최은실 팀장은 “유해정보에 대해 부처간 서로 중복되거나 다른 영역이 있어 흩어져 있고 통일되지 않는 것이 문제”라며 “데이터를 모아서 통합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며 국가 차원의 센터 구축에 힘을 보탰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