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제네릭 제약사인 테바가 한독과 합작사 형태(회사명 한독테바)로 국내 진출을 결정지음에 따라 향후 행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테바는 익히 알려진 대로 이스라엘 국적의 제약사다. 이스라엘은 중동 아시아 서남부에 있는 작은 공화국으로 한반도의 10분의 1 크기다. 이곳에서 테바는 지난 1901년 설립됐다. 올해로 창립 112년을 맞았다. 우리나라로 치면 최초의 제약사인 동화약품과 견줄 수 있다.

작은 국가에서 탄생한 제약사지만 그 규모는 지금 전 세계를 주름잡고 있다. 현재 테바는 1300개 이상의 광범위한 제네릭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미국의 제네릭 시장의 20% 가량을 점유하고 있다. 전 세계에 77개의 완제품 및 원료의약품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17곳의 연구개발 시설로 기반도 훌륭하다.

테바 측은 "미국에서만 매일 150만개 이상의 처방이 나오고 있으며 이를 분당으로 환산하면 매 1052건이다"면서 "또한 6개의 제네릭중 1제품 이상은 테바 제품이다"고 설명했다.

유럽에서도 강력한 입지력을 갖고 있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유럽에서 허가받은 제네릭은 모두 1241품목이다. 현재 유럽 30개국에서 약 2530여 품목(각국 중복)의 판매 허가를 기다리고 있다.

제네릭을 통해 얻은 막강한 자본력을 필두로 브랜디드 의약품 개발에도 힘을 쓰고 있다. 브랜디드 의약품은 특허전략을 피할 수 있는 제품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개량신약에 가깝다.

테바는 정신신경계, 호흡기계, 여성건강, 통증, 항암제 등 크게 5개 분야에서 20~30여개의 브랜디드 의약품을 출시해 놓고 전 세계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이중 CNS 약물인 "코팍손"은 전체 매출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효자 품목이다.

이러한 경쟁력으로 지난해 테바가 전 세계에서 올린 총매출액은 183억 달러로 우리나라 돈으로 환산하면 약 20조원에 이른다. 제네릭과 브랜디드 의약품의 비중의 또한 거의 50대 50이다.

이처럼 막강한 자본력을 가진 테바가 국내 시장에 들어오기 위한 첫 단계 작업을 마무리했다. 지난 14일 한독과 테바는 계약을 통해 합작사인 한독테바 설립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새로운 경쟁체계 돌입을 앞두고 있다. 업계는 일단 테바의 경쟁력을 크게 3가지로 보고있다.




<사진 : 테바가 한독과 제휴를 통해 한국내 사업을 시작한다는 내용이 최근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다>

첫째는 제품에 대한 경쟁력이다.

테바는 국내 제품과 차별화를 두기 위해 미국FDA에 승인을 획득한 제품을 우선적으로 들여올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까다로운 미국 허가를 통과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유효성과 안전성을 국내 마케팅 전략의 주 무기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

둘째는 가격경쟁력이다. 테바는 전 세계 77개의 완제품 및 원료의약품 생산시설을 갖고 있다. 대량의 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갖췄다는 점은 곧 저렴하게 의약품을 공급할 수 이야기다.

마지막으로 홍보 전략도 장점이다. 테바는 이스라엘 제약사이지만 주 무대가 미국과 유럽인 만큼 글로벌 기업수준의 홍보 마인드를 갖고 있다. 홈페이지만 가봐도 기업에 대한 웬만한 정보가 다 소개돼 있다. 최근 한독테바를 통해 한국진출을 시작한다는 내용도 올려져있다. 이처럼 홍보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점으로 미뤄볼 때 국내 시장에서도 예외가 아닐 것이라는 판단이다.

PWC 삼일회계법인 주연훈 고문은 "테바가 한국시장에 들어오기 위한 준비기간이 길었다는 점은 다시 말해 치밀한 분석과 설계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면서 "따라서 앞으로 한국 시장에서 공격적인 마케팅 행보가 예상되며 국내사간의 경쟁도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