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이 아니라 모든 국민으로 대상 확대 주장

민간이 기피하고 취약계층이 이용하는 병원이라는 인식을 주는 공공 병원의 개념을 이제는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6일 진행된 서울대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이 주관한 "공공의료사업 미래 발전을 위한 심포지엄"에서 이진석 교수(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는 공공보건의료의 개념을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진료를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개념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취약계층 대상에서 모든 국민 대상으로, 서비스도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양질의 적정진료와 건강증진, 질병관리로 전환해야 한다"며 "기관도 공공병원, 공공보건기관만 하던 것에서 모든 보건의료기관으로 확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MGH)의 성공 사례를 예를 든 이 교수는 찾아온 환자에게 소득, 인종에 무관하게 동일한 양질의 적정진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확신을 보였다.

MGH는 환자들이 적정진료를 받을 수 있는 노하우를 다른 병원들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Equity Report를 공개하고, 병원의 CEO 대상으로 교육과 훈련을 제공한다. 게다가 각 병원의 자료를 분석해 주는 컨설팅도 제공하는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

이 교수는 "국가중앙병원인 서울대병원이 공공성이 갖는 한계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개념을 확장하는데 앞장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공공성 개념 전환에 대한 요구에 대해 서울대병원 이정렬 기획조정실장은 "좁은 의미의 공공성을 벗어나기 위해 서울대병원을 비롯한 국립대학들이 연구와 진료 등의 노하우를 전수할 수 있는 센터가 필요하다"며 "서울시나 복지부에서 교육 훈련을 할 수 있는 센터에 대한 지원을 해줬으면 한다"라고 요구했다.

심포지엄에 참석한 윤강섭 보라매병원 진료부원장은 "변하지 않는 공공의료의 개념을 먼저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진료부원장은 "사람이 바뀔 때마다 공공성 정의가 바뀌니까 뭘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국가의 적정한 보조금 지원도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