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골다공증 척추골절 환자의 합병증 위험인자를 밝혔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김영훈, 하기용 교수팀이 100명의 골다공증성 척추골절 환자를 조사한 결과 등뼈인 흉추에서 허리뼈인 요추로 이지는 부위인 흉요추부위에 골절이 있거나, MRI 검사 결과 즉 영상학적 특징상 척추뼈 후면부의 골절이 동반 되면 척추가 계속 내려않는 합병증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척추골절 후 어떤 환자들에게 합병증이 발생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비만정도, 성별, BMI(체질량지수) 등의 임상소견과, 골절이 있는 부위의 방사선적 특징을 조사, 골절부위의 변형이 15%이상 진행 할 확률이 흉요추부위 골절이 있는 환자는 16배, 척추뼈 후면부 골절이 있는 환자는 62배 높았다.

또 척추 후만각이 10도 이상으로 진행하는 확률은 흉요추부위 골절환자는 4배, 척추뼈 후면부 골절 환자는 9배 높았다.

골다공증성 척추골절은 대부분 보존적 치료 및 일부에서 뼈시멘트를 이용한 비교적 간단한 수술로 치료하나 일부에서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신경의 손상이나 심한 후만변형 (허리가 굽어지는 변형)으로 이나 몸이 앞으로 굳어지는 현상인 체형의 후만변형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의 위험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합병증 발생과 관련되어 예후를 예측 하기위한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는 되지 않았다.

골다공증이 생기면 단단하던 뼈가 푸석푸석하게 변해서 약간의 충격만 받아도 쉽게 골절이 생긴다. 요즘처럼 기온이 떨어지는 계절에는 움직임이 둔해지고 근육이 긴장하면서 척추 관절의 유연성이 떨어지면서 골절이 발생하기 쉽다.

팔목 골절이나 엉덩이뼈 골절은 넘어지는 등의 외상이나 충격을 받아야 일어나기 때문에 쉽게 발견하지만, 척추 골절은 자신이 느끼지 못하는 사소한 충격만으로도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골다공증의 가장 심각한 후유증은 척추 골절이다. 목욕탕에서 미끄러지거나 물건을 들다가 삐긋하는 정도의 사소한 외상으로도 척추 골절이 일어난다. 골다공증이 심할 경우 기침이나 재채기를 하다가도 뼈가 부러질 수 있다.

김영훈 교수는 “골다공증성 척추골절은 비교적 치료 결과가 좋으나 후만변형 및 신경 손상과 같은 위험한 합병증 또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초기의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며, 골다공증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며 “골절을 예방하기 위해 40대 이전에 충분한 유산소 운동과 영양공급을 하고, 주기적인 골다공증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