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협상이 결렬된 의원급 의료기관 수가인상률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결정된다. 의협은 건정심 탈퇴를 선언한 상태기 때문에 개원가 현실을 제대로 보여주고 주장할 기회가 사실상 없어진 상태. 건정심은 의협이 언제든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돼 있지만 명분이 그리 녹록치 않다. 따라서 그렇지 않아도 공급자단체에 불리한 건정심 구조에서 기대했던 수가를 얻어내기는 쉽지않아 보인다.

지난해 의협은 부대조건 없이 2.9%의 수가인상률에 악수를 함으로써 충분하지는 않지만 선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올해는 다를 것이란 분석이다. 4조원 건보재정 흑자라는 좋은 여건이 형성돼 있지만 이번 결렬로 의원급으로서는 혜택이 최소화 될 것이란 것이다. 오히려 지난해 수가협상 결렬을 선언했던 병협이 건정심에서 페널티를 받아 최초안보다 줄어든 1.7% 인상률이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의협은 더 어려운 국면에 처할 가능성이 크다.

올해 협상과정을 보면 의협과는 결렬이 예고된 듯 하다. 먼저 직접적인 이유는 될 수 없지만 복지부와 의협의 부딛힘, 의협과 공단의 난타전 등 불편한 심기를 안고 출발한 것이 자율 타결에 이르지 못한 서막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흐름도 완만하지 않았다. 건보공단이 부대조건으로 성분명처방과 총액계약제를 제시하면서 협상 분위기는 냉각됐다. 이 조건들은 의료계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카드이기 때문. 이를 두고 의협은 "건보공단은 터무니없이 낮은 수치를 제시하고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내용을 부대조건을 내건 것은 애초에 협상 의지가 없었던 것"이라는 입장을 갖고 있다.

공단과 의협은 부대조건 핑퐁게임에 이어 인상률 공방을 경험하면서 협상결렬을 예상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의협은 만약 현상이 결렬됐을 경우 그 책임은 공권력을 활용해 협상을 강제하는 공단 측에 있고 국민건강을 위해 수가협상의 잘못된 틀을 바꾸는 데 노력하겠다고 밝혔고, 협상 마지막 날 언론 브리핑을 통해서도 결렬 가능성을 암시했다.

여기에 노환규 의협회장이 페이스북에 2000년~2012년까지 근로자 평균 노동자임금, 보험료, 공무원임금, 소비자물가, GDP 등의 인상률과 수가인상률을 비교하는 의원급 의료기관 수가 및 주요 경제지표 변동 그래프를 올리고 "물가상승률에도 못미치는 진료수가인상이 강제적으로 계속된다면 의사들의 고통을 넘어 의료의 질하락이 될 것"이라고 지적한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대선을 앞두고 지난 7일 제1회 한마음 전국의사가족대회를 열어 의사정치세력화 본격화에 나선 의협이 이번 수가협상 결렬을 계기로 어떤 행보를 펼칠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