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John Gurdon 박사, 일본 Shinya Yamanaka 교수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 개발자들에게 돌아갔다.

노벨위원회는 영국 캠브리지거든연구소 John Gurdon 박사와 일본 교토대학의 Shinya Yamanaka 교수를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위원회는 iPS가 신체의 모든 조직으로 발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이를 통해 세포와 장기의 발달에 대한 기존 이해도를 혁신시켰다는 점에 무게를 뒀다. 이를 통해 질환의 진단, 치료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생겼다는 것.

Gurdon 박사는 1962년 iPS를 최초로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성숙한 장세포에서 추출한 핵을 미성숙한 난세포의 세포핵과 대체시킨 결과 건강한 올챙이로 성장했다는 결과를 얻었다. 즉 성숙한 세포에서 얻은 DNA가 개구리의 모든 세포로 발전할 수 있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는 것이다.

Yamanaka 교수는 2006년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iPS를 만드는 방법을 발견했다. 연구에서는 성숙한 쥐 세포의 일부 유전자를 유도해 다양한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미성숙 세포, 즉 만능줄기세포로 재프로그램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번 수상에 대해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하철원 교수는 "Yamanaka 교수의 연구는 배아줄기세포나 성체줄기세포가 아닌 피부세포를 이용, 성장인자를 조작해 줄기세포처럼 전환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해 줄기세포연구의 실용화 가능성을 크게 높인 것"이라며 "iPS는 기존 줄기세포 연구와 달리 윤리적 면에서 자유롭고, 안정적으로 줄기세포를 연구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아산병원 아산생명과학연구원 서나영 연구교수는 "iPS를 통해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고 질환별 신약개발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즉 환자의 질환치료에 필요한 만능줄기세포를 환자 개인에게서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서 교수는 "실제로 파킨슨병, 헌팅턴병 등 퇴행성 질환자로부터 iPS를 확립할 수 있다는 결과가 제시되기도 했다"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