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 건보재정 지속 토론회서 수가 무조건 깍거나 억제해선 안돼

"건강보험의 장기적 지속 가능성은 의료계를 쥐어짜는 것이 아니고 동반자적 입장으로 같이 가는 것이다."

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최한 "건강보험 재정현안 토론회"에 참석한 복지부 박민수보험정책과장은 "건보재정안정화를 위해서 단기적으로는 수입을 늘리고 지출을 깍아야 하는 것이 숙명이지만 이것이 장기 대책은 될 수 없다"며 "이제는 장기적인 재정안정화 방안을 위한 논의가 시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30년간 건강보험 급여가 걸어온 길이 너무나 규제적이었다는 평가와 함께 수가를 무조건 깎거나 억제해서는 더이상 지속가능할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박 과장은 "수가를 억제하면 옆으로 늘어나는 풍선효과만 나타날 뿐"이라며 "현재와 같이 비급여나 행위량을 늘리면서 수익을 유지하는 왜곡된 틀이 양산될 뿐이다"고 부연했다.

진료실에서 일어나는 왜곡을 다 잡아낼수 도 없을 뿐더러, 이같은 왜곡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인 비급여의 경우 거의 무주공산의 수준이라는 것.

특히 이같은 왜곡은 외과, 산부인과 등 주요과의 기피현상 및 건강보험이 커버 안되는 피부·성형 등 일부 돈되는 과로 인재들이 쏠리도록 하는 왜곡으로까지 이어져 이제는 이에 따른 의료질 저하도 극복해야 할 과제가 됐다는 것이다.

박 과장은 "정부는 비급여 대해 파악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병원별 항목은 물론, 가격 조차도 파악이 안되고 있다"며 "일련의 왜곡된 현상을 볼 때 무조건 수가를 깎거나 억제한다고 해서 재정의 지속가능성이 나올 것 같지는 않다. 동반적 체제로 합리적으로 꾸려가고자 하는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DRG 등 향후 정부 추진 정책에 대해서도 신뢰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는 것.

박 과장은 "DRG은 지출절감방안이 아니다"며, "DRG의 첫 의미는 급여화 되지 않는 중요한 목록이 급여로 들어온다는 것과 적정수준의 보상 개선을 담아간다는데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의 행위별수가 체계를 변경할 계기가 된다는 것이다. 이것을 넘어서야만 왜곡된 구조를 타파할 수 있다는 설명.

아울러 공평한 부과체계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건보가 사회보험이고, 그렇다 보니 가입자가 주요 재원이 되는 전통적 틀을 계속 가져갈 것인가는 고민해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고 지원이 10% 수준인데 이를 더 늘려야 한다는 것. 그는 "다양한 재원으로 의료비를 쓰는 것이 전체 국가 재정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