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이상 의사에 문의…이중 44% 처방 받아

처방약물에 대한 소비자직접광고(director-to-consumer ads, DTC)가 미국서 크게 실효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DTC광고의 폐해를 주장하는 쪽과 확대방안을 모색중인 제약사간 찬·반 양론이 거세다.
 
美 지역일간지 "The Detroit News"는 최근 카이저패밀리재단(Kaiser Family Foundation) 조사결과를 인용, "미국인 10명중 9명이 처방약물광고를 보거나 들은 적이 있으며, 이중 30% 이상이 광고에서 본 약물에 대해 의사에게 문의한 것으로 답했다"고 보도했다. 이중 44%가 해당약물을 직접 처방받은 경험이 있고, 5개 주요약물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DTC광고로 인한 제약사 매출성장률이 12%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찬·반 진영 모두 소비자광고의 효과에 대해 이의를 달지 않는 이유다.
 
DTC광고의 위력을 잘 알고 있는 제약사들은 1990년대 후반 미국식품의약국(FDA)이 방송규제를 완화하면서, 최근까지 처방약물 소비자광고비 지출을 3배 가량 늘렸다. 1996년 8억달러 수준에서 2001년 들어 27억달러로 증가한 것이다. 총 광고비용은 92억달러에서 191억달러로 2배 이상 상승했다.
 
미국국립의료경영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1999~2000년 사이 가장 많은 광고횟수를 기록한 50개 약물의 매출이 31.9%까지 뛰어 올라, 여타 약물(13.6%)과 큰 차이를 보였다.
 
DTC광고의 급증은 제약업계의 현실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제네릭약물의 출현으로 기존 시장체제가 개편될 것을 우려한 거대제약사들이 거액의 신약 연구·개발비 회수를 위해 소비자에게 직접 다가설 수 밖에 없었다는 것.
 
제약사들은 "이같은 소비자광고가 대중에게 신약요법의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광고확대 의지를 보이고 있다.
 
반대론자들도 처방약물광고가 소비자의 증상에 적합한 약물정보제공에 도움을 준다는데 동의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
 
반면, 대부분의 반대론자들은 과도한 소비자광고가 약값인상의 원인인 동시에 소비자들의 왜곡된 자가진단을 유도한다며 비난일색이다. 최근 4천만여 미국 노령층 인구(총 처방약물의 40%)에게 약가를 보조키로 한 정부와 의회도 TV를 통해 광고되는 고가의 브랜드약물에 소비가 집중되지 않을까 내심 우려하고 있다.
 
하버드의대 교수이자 이번 조사에 참여한 리차드 프랭크 박사는 "소비자들이 DTC광고를 통해 "정보를 활용하는지 아니면 설득당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답이 가려져야 규제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며, 소비자광고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를 주문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