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인 관상동맥질환(CAD) 환자에서 경피적 관상중재술(PCI)이 약물요법(OMT)보다 사망률이나 치명적이지 않은 심근경색(MI), 예기치 못은 혈관재생, 협심증 발생률 등의 측면에서 우월하지 않다는 메타분석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주립대-스토니브룩의대 David Brown 교수팀은 안정적인 증세를 보이는 CAD 환자에서는 덜 침습적이고 비용이 저렴한 약물치료가 바람직하다는 연구결과를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COURAGE, OAT, BARI 2D 등을 포함해 8개의 연구 결과를 메타분석했다. 그 중 연구 3건은 MI가 나타난 후 안정적인 환자, 나머지 5건은 협심증 혹은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심장 기능 검사에서 국소 빈혈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분석대상이 된 환자는 모두 7229명이었다.

평균 4.3년 추적 관찰한 결과 총 649명이 사망했으며, 이중 PCI군은 322명(사망률 8.9%), OMT군은 327명(9.1%)으로 둘 사이에 눈에 띄는 차이가 없었다. 치명적이지 않은 MI 발생률은 PCI군 8.9%, OMT군 8.1%, 예기치 못한 혈관재생률은 PCI군 21.4%, OMT군 30.7%로 역시 큰 차이가 없었다. 지속적 협심증 발생률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Brown 교수는 "안정적인 CAD 환자에서 PCI 시술이 사망률이나 협심증 발생률을 줄인다고 보고한 메타분석 결과도 있지만 이들은 OMT와 기구혈관형성술 비교 연구를 포함하거나 최근에 행해진 OMT와 스텐트 시술 비교 연구만 포함하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미국 올버니 스트라튼보훈병원의 William Boden 박사도 관련 논평에서 "2007년 NEJM에 발표된 COURAGE 연구에서 PCI군이 OMT군보다 흉통이 덜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 효과는 1~3년밖에 지속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따라서 임상적으로 유효한 근거가 부족하다면 치료 시 가장 저렴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