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중 7명 가량은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19일 연명치료 중단, 헌혈, 장기기증, 대리모 등 최근의 생명나눔 및 생명윤리 이슈와 관련하여 처음으로 실시한 "생명나눔 인식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은 72.3%가 찬성했다. 이들은 허용할 수 있는 사유로는 "가족의 고통(69.4%)", "고통만을 주는 치료(65.8%)", "경제적 부담(60.2%)" 등을 꼽았다. 중단을 원하는 치료는 인공호흡기 적용(73.9%), 기도삽관(59.3%), 심폐소생술(48.8%), 영양공급(40.9%) 등을 들었다.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지를 반대하는 이유로는 "생명은 존엄하므로 인위적으로 사망에 이를 수 없다(54.5%)"가 가장 많았다. 그 밖에 "생명은 신이 부여한 것으로 인간의 영역이 아니다(21.7%)", "남용의 위험(18.4%)" 등이 있었다.

향후 뇌사 등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없을 때를 대비하여 미리 연명치료 여부에 대한 의사를 문서로 작성하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해 이를 작성할 의향이 있다는 답변은 40.5%이며, 작성 의향이 없는 이유는 "생각해 본 적이 없다"가 71.4%로 압도적이었다.

또 대다수 국민들은 죽음에 대해 평소에 이야기하거나 생각하지 않으며, 죽음을 준비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다수가 "누구나 죽기 때문에 죽음은 당연하지만 공개적으로 이야기를 나누지는 않는다(49.4%)"거나 "생각해 본 적 없다(29.8%)"고 했으며, 죽음 준비에 대해서도 "죽음은 피할 수 없지만 굳이 준비할 필요는 없다(36.8%)"거나 "생각해 본 적 없다(34.4%)"고 답했다.

건강할 때 미리 죽음을 준비하자는 문화운동인 "웰다잉운동"은 92.5%가 모르고 있었다.

생명나눔 실천 방법으로는 헌혈을 가장 선호했으며, 장기·조혈모세포 기증은 참여 의사가 낮았다.

헌혈은 40.6%, 장기기증은 29.2%, 조혈모세포(골수)의 경우에는 14.3%만이 향후 기증의사를 표명했다. 이는 2006년 EU 조사결과 사후 장기기증 의향을 표시한 비율이 평균 56%인 것을 감안할 때 아직 낮은 수준이다.
기증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막연한 두려움(장기 48.2%, 헌혈 36.4%, 조혈모세포 52.3%)", "신체 훼손 우려(장기 36.9%, 조혈모세포 26.5%)" 등의 답변이 많았으며, 효과적인 기증 활성화 방안으로는 TV광고 등 홍보 강화(헌혈 41.6%, 장기기증 35.6%)를 꼽았다.

대리모임신에 대해서는 국민의 다수(85.3%)가 부정적이었으며, 법적 금지를 찬성하는 응답이 68%로 나타났다.

77.3%는 대리모임신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답하였는데, 그 이유로 "친자 확인 등의 논란(35.2%)", "생명 상업화(30.0%)", "사회풍속 저해(23.9%)"등이 있었다.(1순위 응답 기준).

복지부는 이번 조사가 윤리적으로 민감한 생명윤리 분야에 대해 정부가 처음 실시한 국민 인식도 조사로서, 생명윤리 분야 연구와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주)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 지난해 3월∼12월 일반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 방식으로 실시(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p)했으며, 일부 항목은 의사·간호사·장기기증코디네이터 등 관련 분야 종사자·관계자 450명을 추가 조사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