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를 받기 위해 안과를 방문한 습성황반변성 환자 6명 중 1명이 실명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망막학회(회장 윤일한)가 김안과병원, 고려대병원, 건양대병원, 가천의대길병원, 충남대병원, 이대목동병원 등 서울, 경기, 충청 지역의 주요 병원 환자 차트를 분석한 결과 2005년과 2010년 습성황반변성으로 광역학 치료, 항체주사 치료를 받은 전체 환자 985명 중 약 16%인 157명이 시력 0.02 이하인 법적 실명 판정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대부분이 병원을 늦게 찾아 치료시기를 놓친 경우였다.

반면에 증상 완화와 손상된 시력의 상승 등 황반변성 치료의 예후가 과거 2005년과 비교해 매우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김안과병원, 고려대병원, 건양대병원, 가천의대길병원, 충남대병원, 이대목동병원에서 2005년과 2010년에 습성황반변성 치료를 받은 환자 985명의 치료 후 시력변화 평균값을 분석한 결과 2005년 보다 2010년에 치료를 받은 환자가 치료 완료 후 시력 검진표에서 평균 2줄 정도 더 읽을 수 있게 됐다고 학회는 밝혔다.

또 시력이 저하됐을 때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던 경험이 있다면 그 이유를 묻는 질문에 70%의 응답자가 ‘노화로 인해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노안)이라고 생각해서’로 답한 것으로 나타나 전국 규모의 황반변성 인지도 제고 캠페인이 절실히 필요함을 보여줬다.

전체 응답자의 약 86%가 황반변성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기도 했다.

윤일한 회장은 “황반변성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어 일반적인 노안과 혼동하거나 황반변성에 대한 인지도 자체가 낮아 병원을 늦게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며 “황반변성은 본격적으로 병이 진행된 후 수개월 내에 실명까지 이어지므로 조기 발견 및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이태곤 홍보이사도 “습성황반변성의 치료에 있어서 항체주사 등 새로운 치료법의 도입, PDT 광역학 요법과의 적절한 병행 치료, 조기 진단 및 치료의 증가 등이 요인인 것으로 사료된다”고 설명하고 “40대 이상 년1회 안과 검진을 통해 황반변성을 조기에 발견하고 전문의 진단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을 경우 과거보다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