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대표연구소로 성장해야

지난해 7월 6일 의료계의 최대 숙원 사업중 하나였던 의료정책연구소가 문을 열었다. 벌써 출범 1주년을 맞이했다.
1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얼마나 많은 연구 실적을 낼 수 있었겠냐며 평가를 내리기 이르다는 의견도 있지만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는 평가도 있다. 회원들의 특별회비로 운영되고 있는만큼 빠른 시간안에 의협의 정책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각종 현안에 대한 논리 개발을 주문하고 있는게 사실이다.
의협 의료정책연구소는 당시 27억(연구비 14억. 인건비 등 관리비 13억)을 예산으로 연구직 8명을 포함해 14명으로 시작했었다. 올해는 25억 예산(연구비 11억 인건비 등 관리비 14억)에 연구직 7명을 비롯해 13명으로 운영되고 있다. 예산도 연구소의 핵심인 연구직의 숫자도 줄었다.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유능한 연구원의 확보가 시급한데 오히려 줄었다는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연구소는 다양하고 질 높은 연구를 위해 다른 비용보다는 연구비 비중이 높아야 한다는 의견이다.

그동안 의협 의료정책연구소는 4종의 정책 자료집과 3종의 일반 자료집을 발간했으며 연구물은 모두 8건을 생산해 냈지만 의료계의 주장을 합리화시키고 관철시킬 수 있는 논리 개발이 부족한 단편적인 수준에 머물렀다고 지적하고 있다. 정부의 의료 정책에 맞설 수 있는 수준 높은 연구물을 원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의료계의 일방적인 주장으로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시대이므로 의협 의료정책연구소는 이 점을 감안, 국민들을 설득하고 이해 시킬 수 있는 더 나아가 정부 관계자들을 납득시킬 수 있는 객관성과 신뢰성을 갖춘 연구 결과를 생산해내는데 주력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 점이 일반 회원들이 주문하는 핵심사항이다.

그 외 의료정책연구소가 보건의약계를 대표하는 연구소로 자리잡아 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의료정책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기관이 많지 않아 더욱 중요하게 취급하고 있다.
의협 의료정책연구소 소장의 임기 명시도 현안중에 하나이다.
현재 소장 임기는 명문 규정되어 있지 않다. 이는 임명권자인 의협 회장이 임기를 결정하도록 해 소장의 신분 보장이 돼 있지 않다는 것이다. 연구의 자율성을 침해할 수도 있다.
의협의료정책연구소 한 관계자는 "의료정책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없는 상태에서 연륜이 짧은 의협 의료정책연구소는 지난 1년동안 성장하기 위해 애써 왔다"고 전제하고 앞으로는 회원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 이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지금 의료계는 의약분업과 건강보험재정문제 등 각종 현안이 산적해 있다. 앞으로 연구소는 이들 현안에 대한 시의 적절한 연구와 더불어 의료와 의사, 국민을 위한 장단기적 과제를 수행할 때 명실상부한 의료계의 대표 연구소가 될 수 있도록 제2 출범의 자세로 거듭나야 하겠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