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외상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집중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중증외상센터"가 2016년까지 16곳 설치된다.

이 센터는 365일 24시간 응급수술 준비체계 운영, 전용 중환자병상 가동하게 되며, 교통사고·추락에 의한 다발성골절·출혈 등에 대해 최적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시설·장비·인력 을 갖추게 된다.

이러한 센터는 현재 미국 203개소, 독일 90개소, 일본 22개소, 런던 4개소가 있으나 우리나라는 한곳도 없다. 내년 부산대병원서 개소하면 제1호가 되는 것.

복지부는 이를 통해 현재 외상환자 예방가능 사망률 35.2%(2010년)를 20%대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체계 도입후 미국은 34%에서 15%로, 캐나다는 52%에서 18%, 독일은 40%에서 20%로 예방가능 사망률을 낮춘 바 있다.

지금까지 외상환자 치료는 다양한 인력자원 투입과 장기간 환자재원기간 등으로 병원엔 경영부담, 의료인엔 위험부담과 근무강도가 높아 대표적인 기피분야로 꼽혀왔다.

이에 복지부는 외상전용중환자실과 전문의사 부족 해소를 위해 2016년까지 2000억원을 집중 투자, 중증외상환자 치료환경 개선에 나서기로 한 것. 우선 응급의료기금계획 변경을 통해 올 하반기에 160억원을 집행키로 하고 내년예산도 400억원으로 확정했다.

이어 10월 5일 공모를 통해 각시도별로 1개소씩 총 15곳(2013년 부산대 개소예정 제외)을 선정 운영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2016년 이후 추가설치는 인구규모와 수요에 따라 검토된다.

중증외상센터에는 외상전용 중환자실·혈관조영실 등 외상전용 시설장비 설치에 80억원을, 외상전담 전문의 충원계획(최대 23명)에 따라 매년 7억~27억원을 연차적으로 인건비를 지원하게 된다.

중증외상센터가 설치되는 의료기관은 전용수술실 2개 이상, 40병상 이상 전용병동 등을 갖춰야 하며, 3교대 4개조 외상팀(9명)을 구성해야 한다.

복지부는 2016년까지 650개 전용중환자 병상에서 2만명의 외상환자가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또 이전 예정인 국립중앙의료원에 중앙외상센터를 설치할 계획이다.

그러나 응급의학전문의들은 "이 분야의 진전이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러한 지원규모로는 적자가 예상되는 중증외상센터 설립에 참여할 의료기관이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보고 "제대로 할 수 있는 센터의 개설을 위한 집중적인 투자와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