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들 CT·X-ray 기피…검사 설명 어려움 토로

"건강검진을 예약한 환자가 검사에서 X-ray는 제외해 달라는데요."
 
"진단이 필요해 CT검사를 하고자 했더니 환자분이 방사능이 얼마나 나오냐고 묻기에 한참을 설명했습니다."
 
최근 열린 한 학술 행사에서 만난 영상의학과전문의와 대학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일본발 방사능 공포로 인해 의료장비를 통한 검사시 이런 현상을 자주 보게 된다고 토로했다.
 
그러나 의료전문가들은 방사선 검사의 이득이 유해성보다 매우 크다며, 정확한 진단을 위한 의료인의 처방을 잘 따르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방사선 검사 유해성보다 이득 많아
 
성동욱 대한영상의학회 방사선 안전관리 이사는 "우리나라 국민이 자연에서 받는 방사선은 연간 약 2.4 mSv(미리시바트)이다. 자연 방사선 이외에 가장 많이 받는 것은 의료용 방사선이다. 대표적인 예로 가슴엑스선 사진은 0.1 mSv, CT나 PET/CT는 약 10 mSv 정도의 방사선을 받게 된다"며, 너무 불안에 떨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서울의대 핵의학교실 강건욱 교수(대한핵의학회 대외협력이사)도 "일본 방사능 노출을 계기로 저선량 방사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의료 피폭의 경우 법적으로 연간한도가 정해져 있지 않는데 이는 의료혜택이 저선량 방사선 노출의 위험성에 비해 상회한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학계는 방사선이 전혀 위해하지 않다는 입장은 아니다. 강 교수에 따르면 히로시마, 나가사키 원폭 피해자 중 생존자를 추적한 결과 100 mSv 이상에서는 백혈병, 고형암의 증가가 선량에 비례해 증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100 mSv 이하에서는 통계적 오차범위에서 다양하게 나와 위험성에 대한 객관적 증거는 부족하고 이 범위에서 방사선 노출이 안 된 집단보다도 백혈병 발생이 줄어든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미국과학위원회(National Academy of Science)는 위해성 여부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 안전하게 위해하다고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특히 저선량 방사선이 암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지는 다른 암 발병인자에 가려 원인으로 밝혀진 바 없으나 유해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최근 학계에서는 의료 피폭도 될 수 있는 한 낮추자는 목소리가 높다.
 
의료계, 의료 피폭 낮추기 나서야
 
최근 영상검사용 장비의 성능이 좋아져 구형 장비에 비해 선량이 낮은 CT, PET/CT 등 의료기기가 출시되고 방사선 치료 장비 역시 정상 장기의 피폭을 최소화하는 IMRT, 토모테라피, 사이버나이프, 양성자치료, 중입자치료 등도 이러한 경향을 잘 반영하고 있다.
 
저선량의 피폭에 의한 암발생은 미미하다고 할지라도 예방할 수 있으면 예방하는 것이 원칙이다.
 
성동욱 이사는 방사선 관계 종사자들은 의료인과 환자를 위해 방어시설, 철저한 복장 갖추기, 촬영실 밖과 차단(문닫기), 납가운 같은 방어용 차폐물을 착용하는 등 피폭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의사는 의사윤리와 적응증 등을 감안하고 최적화(피폭적게, 우수 촬영조건 구비) 상태로 필요한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병원도 납유리 설치 등 방사선 방어시설을 제대로 갖추고, 노후장비에 대한 교체에도 적극 나서야 피폭을 줄일 수 있다.
 
권고량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시급
 
또한 환자는 물론 병원도 방사선량이 어느 정도인지 모르고 있다며, 방사선을 줄이기 위해 스마트카드에 정보를 담는 일명 '국민 방사선 피폭수첩'도 만들어 소지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식약청안전평가원 방사선방어과에서 제시한 흉부, 유방촬영, CT에 대한 권고량 가이드라인을 적극 홍보하고, 일반·투시 검진 차량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개발, 보급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