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흡연 등 신장이식 성적영향…CIMT 측정, 위험성 평가 예측에 중요

Association of vascular risk factors with carotid intima media thickness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Larsen J, Groggel GC, et al. Transplantation 2010;90:980-985

배경 및 연구방법

신장이식 후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은 혈관질환이며, 신장이식 환자의 혈관질환 위험성을 알아보기 위해 경동맥내막증식(carotid intima media thickness: CIMT)을 이용한 연구는 없었다.

이 연구는 경동맥내막증식과 가장 관련이 있는 위험인자를 밝히기 위하여 신장이식 후 6개월 이상 경과했으며 GFR이 30ml/min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단면조사를 시행했다.

연구 결과 및 결론

3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했으며 평균연령은 52.3 ± 0.6 세, 이식 후 5.9 ± 0.3 년의 경과를 보여줬다. 당뇨(P<0.01), 흡연 (P=0.01), 공여자의 상태(뇌사자 이식 vs 생체이식, P=0.04) 등이 CIMT와 연관성을 나타냈다.

또한 나이, BMI, 수축기 혈압, 맥박 압 (pulse pressure) 등 CIMT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확장기 혈압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변량 분석에서도 앞에서 언급한 인자뿐 아니라 인종/민족, GFR 등이 CIMT와 독립적인 관련성을 보였으나 지질(lipid), 호모시스테인, CRP, 25-hydroxyvitamin D, 부갑상선 호르몬은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신장이식환자의 CIMT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lipid를 제외한 대부분의 혈관 위험인자가 CIMT와 연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CIMT의 측정은 혈관 질환의 위험성를 평가하고 예측하는데 있어 중요한 비침습적인 검사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논 평


CIMT의 측정은 general population에서 혈관 질환의 발생을 예측하고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CIMT의 유용성을 신장이식 환자에서도 입증하고 그 근거로 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요소와 CIMT의 연관성을 이식 환자에서 보여줬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 CIMT와 lipid가 서로 관련성이 없는 결과를 보임으로서 혈관 질환의 위험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lipid의 역할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되는데, 그 원인을 생각해 보면 논문에서 기술하고 있는 대로 그 첫 번째 원인은 대부분의 환자가 lipid lowering agent를 복용하여 지질대사가 잘 조절 되고 있었고 또한 statin(fluvastatin)의 복용이 심혈관질환 사망률을 낮추는 기전이 단순히 지질대사의 변화만을 통한 것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

말기신질환 소아환자에서의 경동맥내막중막두께(CIMT)의 의미

초기 동맥경화증의 마커로 사용돼 온 경동맥내막증식(CIMT)이 성인 신장이식환자에게도 심혈관질환의 마커로 의미가 있다는 연구(Transplantation. 2010;90:980)에 앞서 칠레의대 소아과 및 이식학과 Delucchi A 교수는 신장이식과 투석치료를 받는 소아 말기신질환 환자에서의 CIMT의 역할에 대한 연구(Transplantation. 2008;40:3244)를 발표,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

연구에서는 투석을 받는 무증상환자 8명,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 12명과 30명의 건강한 소아들의 평균 경동맥의 CIMT, 헤모글로빈, 혈청크레아티닌, 지질, 항상성을 평가했다. 연구에 참가한 소아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13.5세였다.

투석군의 CIMT는 0.450, 이식군은 0.467, 대조군은 0.380mm로 신질환군이 두껍께 나타났으며 항상성 수치는 투석군 2.45, 이식군 1.8로 대조군 0.8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Delucchi 교수는 CIMT가 이식 전 투석기간과 연관성이 있었고, 내막증식의 변화는 초기 요독 소아환자의 초음파 검사로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말기신질환 소아환자의 동맥경화증에는 다양한 요소가 적용하고, CIMT는 환자들의 심혈관질환에 관련된 요소들을 예방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고 정리했다.











/ 임세형 기자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