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진료지침이란 특정 임상상황에서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하기 위해 의료 제공자와 환자의 결정을 돕기 위해 체계적으로 개발된 도구를 말한다. 같은 질병임에도 의사에 따라 스테로이드 처방률이 엄청난 차이를 보이는 경우나 의사의 나이에 따라 제왕절개율이 36~42%의 격차를 보이는 것은 진료를 할 때 표준화된 기준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 할 수 있다. 결국 환자가 어떤 의사를 만나느냐에 따라 질병의 상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환자들은 좋은 의사를 찾기 위해 혹은 질 좋은 서비스를 받기 위해 서울에 있는 대학병원을 찾을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을 종료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진료지침이다. 의사에게 의료 행위의 기준을 제시해 국민이 어디서나 질 좋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진료지침의 최종 목표라 할 수 있다. 잘 활용하면 의료공급자(의료계), 의료소비자(환자), 보험자(정부) 모두에게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진료지침을 만들어 적극적으로 진료에 활용하는 것은 세계적 추세다. 우리나라도 2000년 초부터 진료지침을 만드는 일에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 2010년 11월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진료지침은 모두 107개다. 하지만 진료지침을 제정하는 수준은 아직 걸음마 단계라 할 수 있다. 물론 근거에 기반을 두어 개발하려는 의도는 있지만 근거중심적 방법인 Systematic Review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 임상연구가 적어 국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고 권고안과 근거의 연결성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도 지적받는 부분이다. 이외에도 만들어진 진료지침을 실제 임상에서 쓰지 않고 있고, 의사들이 보이는 거부감 또한 문제점이다.
 
최근에는 의료보험정책에 진료지침을 반영하는 나라들도 증가하고 있다. 영국 NICE(National Institude of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는 사회적 합의에 근거한 진료지침을 제정하고 있고, 이 지침은 국가의 가이드라인으로써 의료보험정책에 반영되고 있다.
 
이처럼 진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진료지침은 초기 발전 단계라 여러 가지 문제점과 해결해야 할 부분을 안고 있다. 진료지침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활성화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