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중증외상환자는 연간 19만 명이며, 이 가운데 상당수는 헬기이송 등의 초기조치 미비로 사망에 이르고 있다. 특히 추락, 익사, 화재 등 중증외상환자에 대한 대응체계가 크게 부족,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민주당 보건복지 허윤정 전문위원은 "외상의료체계 공공성 강화방안" 주제발표를 통해 "중증외상 진료는 병상효율이 낮다는 측면에서 민간의료기관이 자발적으로 투자하기 어렵다"며, "민간 의료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공공의 관리기전을 효율적으로 결합하여 현실 적용 가능한 외상의료체계의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현재의 분절적인 관리기전을 방치한 채 외상센터 지원, 헬기운영 보완을 위한 투자 등은 자칫 "밑빠진 독에 물붓기" 식으로 자원낭비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신속한 중증외상환자 대응을 위해 보건복지부, 소방방재청, 개별 의료기관의 정보가 효율적으로 전달·관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는 "바람직한 외상체계 구축방안" 주제발표에서 "복지부가 권역 외상센터 6개를 구축할 경우 전체 중증 외상환자의 65%정도를 진료할 수 있으며, 권역 외상센터에 2대의 전용헬기를 운용할 경우 전체 중증외상환자의 20% 정도를 이송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김교수는 "성공적인 권역외상센터 건립과 헬기이송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중증외상환자의 적절한 선별, 응급처치 수준의 질적 향상, 헬기이송의 체계화, 권역 외상센터에 대한 적절한 수가 설정과 재정지원이 전제돼야 한다"며, 국가 및 권역 수준에서 외상위원회, 중앙응급의료센터 산하 국가외상센터, 국가 및 권역 외상 계획과 같은 거버넌스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패널로 참석한 충남대병원 유인술 교수는 "외상센터 선정기준을 엄격히 하고 재정운영을 투명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고, 중앙정부는 권역 외상센터 설립에 관심이 많지만 지자체는 그렇지 않다"며,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구했다.

이대목동병원 정구영 교수는 "권역외상센터는 교육 및 훈련을 통해 전문인력 양성에 힘쓰고, 이들이 일선기관에 배치되어야만 전반적인 외상 사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부산대병원 염석란 교수는 "현실적으로 적은 인센티브로 외상전문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다"며,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함을 지적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