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원 현 대한이식학회 이사장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뇌사자를 가능한 장기기증으로 연결시킬 방법을 찾는 것이 국가적으로 장기기증자 숫자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에 대비해 제대로 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현재의 장기기증 시스템 상의 문제를 보완하는 것도 시급하다."

대한이식학회 조원현 이사장(계명의대)은 장기이식 파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생존시 기증에 대한 노력들보다 더 현실적으로 가시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분야가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에 있다고 강조한다.

 조 이사장은 "그 이유는 국내 뇌사자의 발생 가능성에 있다"며 "중환자실 환자를 기준으로 뇌사원인별 분석으로 추정했을 때 연간 약 2000~4000명으로 추산, 기증자로부터 평균 3개씩의 장기를 기증받게 되면 연간 6000~1만2000명에게 장기를 이식해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KONOS에 등록된 공식적인 장기기증 희망자 등록상황은 2009년 말 현재 60여 만명이고 특히 지난 한해동안 18만5000명이 고형장기 기증 희망자로 등록해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조 이사장은 "이같은 결과는 등록단체들의 노력도 있었지만 김수환 추기경 선종시 안구 기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문제는 이들 중 현재까지 뇌사자가 돼 장기를 기증한 예는 극히 소수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2009년 말 장기기증 현황을 보면 생존시 기증이 1795건이었고 뇌사자 기증이 261명으로부터 834건의 장기가 기증됐다. 이 숫자는 등록된 이식대기자 1만2520명의 약 21%에 해당되는 것으로 매년 장기기증자와 이식 대기자 상이의 누적 격차는 점점 커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뇌사기증의 경우 미국의 2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조 이사장은 "뇌사 판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담보하고 잠재뇌사자 신고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런 업무를 담당할 전담기구의 역할도 중요하다"며, "무엇보다 뇌사자 장기기증을 활성화 방안을 담고 있는 장기이식 관련 법안을 시급하게 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