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치료에서 중요한 2가지는 효과와 안전성이다. 하지만 질환에 대한 일괄적인 약물치료는 환자 개인의 특성에 따라 효과면에서 차이가 발생하고, 대부분 약물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화학제제는 필연적으로 부작용의 위험성을 안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환자들에 대한 약물의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낮추자는 의미의 맞춤치료가 대두된 것은 당연한 흐름이다. 최근 열렸던 미국심장학회(ACC) 연례학술대회에서 발표된 "ACCORD", "NAVIGATOR" 등 연구들에 대한 해석들도 질환군 전체에 대한 치료에서 환자 개인의 특성에 맞추는 방향이 필요하다는 쪽으로 모아졌다.

하지만 사람들은 맞춤치료라는 말에서 화학제제보다는 항암제를 필두로한 생물학제제를 먼저 떠올린다. 대부분의 생물학제제가 화학제제가 치료하기 힘든 질환의 특정 타깃에 작용하면서 보다 적은 부작용을 보이기 때문이다. 생물학제제의 시장성장률이 급속하게 높아지고 있는 현실도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그럼에도 약물치료에서 화학제제의 비중은 여전히 높고, 앞으로도 간과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맞춤치료의 패러다임에서 화학제제 약물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 것인가.

의료계는 환자의 약물 유전체 검사에서 답을 찾고 있다. 기초연구 분야로만 인식될 수 있는 유전체 검사지만, 지놈 프로젝트(genom project)를 거쳐 유전자에 대한 정보와 기술이 비약적으로 높아진 지금, 유전형을 활용한 맞춤치료는 이미 미국 등 연구를 먼저 시작한 선진국들은 임상에서 활용하고 있다. 3월 미국식품의약국(FDA)이 발표한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 Plavix)의 대사를 담당하는 간효소인 CYP2C19가 저하된 환자들에게는 약물효과가 낮을 수 있다는 경고는 유전자 연구가 임상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디까지 왔는가. FDA가 클로피도그렐에 대한 경고를 발표한 주,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한국인 중 항궤양제, 항진균제, 항혈소판제 등에 대한 약물대사 능력이 저하된 CYP2C19*2, *3 유전형이 약 40%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유전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이를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준까지 도달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임상연구과 정면우 과장은 우리나라의 기술수준도 선진국과 큰 차이가 없고, 세계적으로도 연구를 주도하는 국가 중 하나라고 말한다. 하지만 국내 병원에서 유전자 검사 시행에 대한 정보를 접하기는 쉽지 않다.

맞춤치료 시대에서 약물대사에 관련된 유전자 연구·검사를 활용하고 있는 세계의 수준과 우리나라에서 유전체 검사가 일반화되기 위해서 해결해야할 과제들을 조명해본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