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장 김상운 교수(연세암병원 부인암센터)
좌장 김상운 교수(연세암병원 부인암센터)

지난 4월에 개최된 ‘폐암에서의 호중구감소증 관리’에 이어 최근 부인암 영역에서 ‘Management of Neutropenia in Ovarian Cancer’를 주제로 좌담회가 개최됐다. 이번 좌담회에서는 김상운 교수(연세암병원)를 좌장으로 장하균 교수(고대안산병원) 및 박정열 교수(서울아산병원)의 발표가 있었다. 본지에서는 이날의 강연 및 토의 내용을 요약·정리했다.

 

Update on Management of Neutropenia: Global Guideline

연자 장하균 교수 (고대안산병원 산부인과)
연자 장하균 교수 (고대안산병원 산부인과)

연자 장하균 교수(고대안산병원 산부인과)

항암화학요법 후에 흔히 발생하는 골수기능 억제는 혈액학적 독성으로 인해 호중구감소가 심한 합병증 발현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발열성호중구감소증(febrile neutropenia, FN)은 단기적으로 감염증과 패혈증을 유발해 환자를 조기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항암요법 지연 및 용량 감량에 의한 상대적 용량강도(relative dose intensity, RDI)의 감소를 일으켜 항암치료의 효과를 낮추고 부정적인 예후를 초래해 생존율을 낮춘다. 

FN은 이상사례 공통용어기준(CTCAE)에 따라 절대호중구수(absolute neutrophil count, ANC) 1,000/㎜3 이하이며 발열이 있는 경우는 3등급, 긴박한 중재(urgent intervention)가 필요하며 생명이 위급한 경우는 4등급으로 구분한다.  

유방암은 항암요법 1주기에서 FN 발생률이 가장 높았고, FN으로 1주일 이상 항암요법이 지연되거나 RDI가 감소된 경우가 30-60%로 매우 높았다(Culakova et al. SpringerPlus. 2015).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에서 FN을 경험한 환자는 FN이 없는 환자에 비해 사망률이 15% 이상 높게 확인되었다(Lyman GH et al. Cancer. 2010).

G-CSF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는 골수를 자극하여 호중구 생성을 촉진하는 약물로 세포독성 항암요법 후 호중구감소증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고있다.

그러나 1세대 G-CSF는 반감기가 3-4시간으로 짧아 약효 지속성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이를 보완해 지속적으로 작용하는(long acting) 2세대 G-CSF가 개발되었다. 그중 pegteograstim(뉴라펙®)은 1세대 G-CSF를 페길화(pegylation, PEG)한 제제 중 대표적인 약제로, 자가투여보조기구인 허그펙(HugPEG, 뉴라펙® 전용)을 이용해 집에서 자가투여할 수 있다.
PEG G-CSF를 항암요법 2일째에 투여한 결과, ANC 최저치(nadir)에 도달하는 기간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그림 1>

그림 1. PEG G-CSF 예방적 사용에 따른 호중구수 경과
그림 1. PEG G-CSF 예방적 사용에 따른 호중구수 경과

실제 임상 사용경험에서 PEG G-CSF 사용 후 ANC 감소로 인한 항암요법의 지연 사례는 관찰되지 않았다.

미국종합암네트워크(NCCN) 지침에서는 임상근거에 따라 항암요법 약제를 FN 발생 위험도별로 분류하였는데, FN 발생 위험도가 20% 이상인 난소암 치료에 사용하는 topotecan, docetaxel은 FN 고위험도 약제에 해당하며, 자궁경부암에서 주로 사용하는 cisplatin/topotecan, paclitaxel/cisplatin 및 topotecan, irinotecan 요법과 난소암의 carboplatin/docetaxel 요법은 FN 발생 위험도가 10-20%인 FN 중간위험도 요법이다. 

NCCN 지침은 고위험도 요법으로 치료받은 모든 환자에게 예방 목적으로 G-CSF를 사용하도록 하였고, 중간위험도 요법으로 치료받은 환자에 대해서는 환자의 위험인자를 평가해 G-CSF 사용을 고려하도록 했다. 위험인자는 고령(65세 이상), FN 과거력, 낮은 활동도(poor performance) 등이 해당된다. 

특히, COVID-19 시기에는 FN 발생을 더욱 줄이기 위해 10% 미만에 해당되는 저위험도 요법으로 치료받은 환자에게도 예방적으로 G-CSF를 사용할 것과 병원 감염을 예방할 목적으로 병원 방문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자가투여 방식을 선택할 것을 권고했다. 

2차 예방 목적으로 G-CSF를 투여하는 경우는 이전 항암요법에서 호중구감소증으로 인한 합병증이 있었던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G-CSF를 사용한 경험이 없으면 G-CSF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고, G-CSF를 사용한 경험이 있으면 항암제의 용량을 감량하거나 항암요법 약제의 변경을 고려할 수 있다. 

이처럼 G-CSF는 치료에서 예방이라는 새로운 처방 패러다임으로 영역을 확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 보험급여에서 인정되는 항암요법은 상당히 제한적인 실정이다. 난소암 치료에 주로 사용하는 docetaxel/carboplatin, topotecan 약제 등에 대해서도 보험급여 기준이 확대되어 보다 많은 환자들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의 혜택을 누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al World Experience of Pegteograstim

연자 박정열 교수(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연자 박정열 교수(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연자 박정열 교수(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FN은 항암요법 약제의 위험도만으로 발생 위험을 예측하기 어렵고, 환자의 전신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일례로 호중구감소증 발생 위험성이 낮은 저위험군 항암요법을 1차례 실시한 환자에서 패혈증 쇼크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사망에 이르기도 하였다.

따라서 FN 발생 위험을 항암요법 약제에 따라 고위험군부터 저위험군으로 단순하게 분류하기 보다는 각 환자의 상태를 평가해 개별화된 치료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FN 예측 모델을 개발해 항암요법 조기에 FN 고위험 환자를 선별하고 조기부터 G-CSF를 예방적으로 투여해 적극적으로 관리한다면 좀 더 긍정적인 항암요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Pegteograstim과 같은 2세대 G-CSF는 작용시간은 늘리고 투여 빈도는 줄인 반면, 항암요법 후 약 24시간 뒤에 투여해야 하므로 입원을 연장하거나 퇴원 후 집 근처 병·의원을 찾는 경우가 잦았다. 그러나 뉴라펙®은 자가투여보조기구인 허그펙이 있어 pegteograstim 투여만을 위한 입원 연장 및 외래 방문을 줄일 수 있어 복약순응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

허그펙은 퇴원 후 간편하고 안전하게 주사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배흘림 디자인이 적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주사기 바늘이 노출되지 않아 가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사 찔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주사 바늘을 보지 않고도 피하에 최적화된 깊이와 각도로 투약할 수 있어 환자들의 불안과 통증을 줄였다.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pegteograstim과 pegfilgrastim을 비교 평가한 연구 결과에서 pegteograstim은 ANC 500/㎜3 미만으로 저하한 기간이 1.64일로 확인되어 비열등함을 확인하였고, ANC 2000/㎜3 이상으로 회복된 기간은 8.85일로 유의하게 단축됨을 확인하였다(Lee KH et al. Support Care Cancer. 2016)<그림 2>.

그림 2. Pegteograstim과 pegfilgrastim의 유효성 평가 결과
그림 2. Pegteograstim과 pegfilgrastim의 유효성 평가 결과

 최근에는 이러한 연구결과와 임상에서의 사용 경험이 축적되어 1차 예방 목적으로의 G-CSF 투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향후 부인암 항암요법 영역에서의 대규모 임상시험을 통해 FN 예측 모델이 개발되고, 더불어 G-CSF의 국내 급여 인정 범위가 확대된다면 더 많은 부인암 
환자에게 도움이 되리라 전망한다. 


Discussion

김상운: 본원에서는 carboplatin+paclitaxel 항암요법 후 다음 주기 항암요법 직전에 혈액검사를 하고 있습니다. 항암요법 후 혈액검사를 어느 시기에 하시나요? 

박정열: 항암요법 1주일 후에 혈액검사를 시행해서 FN과 패혈증의 발생을 예방하고, 출혈 위험성을 모니터링합니다. 예방적으로 pegteograstim을 투여받은 환자에서 ANC 저하 양상이 보여도 이미 투여된 PEG G-CSF가 호중구 생성을 자극하고 있기 때문에 1세대 G-CSF를 추가로 투여하지 않고 경과를 관찰합니다. 

장하균: 항암요법 1주일 후에 추적 검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합니다. 예방 목적의 G-CSF는 2주기 항암요법 후부터 사용하고 있습니다. Pegteograstim은 항암요법 24시간 후에 투여해야 하므로 자가투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때, 뉴라펙®은 허그펙을 이용해 투여가 용이하고 안전합니다. 반면 자가투여보조기구가 없는 경우에는 PEG G-CSF 투여 후 바늘이 없어져 응급실을 내원하는 등 이차적으로 문제가 발생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 개선을 위해 약제 선택 시 환자들이 안전하게 자가투여할 수 있는 약제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김상운: 실제 임상에서 예방 목적의 G-CSF 사용에 대한 보험급여 기준 확대가 시급한 부인암 영역의 항암요법은 어떤 것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박정열: 부인암 항암요법 중 paclitaxel/carboplatin, paclitaxel/cisplatin, docetaxel/carboplatin, docetaxel/cisplatin, 표적치료제를 병합하는 3제요법 및 docetaxel/gemcitabine, adriamycin/ifosfamide 등의 4제요법에서도 예방 목적으로의 급여 확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김상운: 호중구감소증 환자에서 1세대 G-CSF와 2세대 G-CSF를 선택하는 기준이 있으신가요?

장하균: 1세대 G-CSF는 항암치료 후 호중구감소증이 발생한 경우에 투여하고, 2세대 G-CSF는 항암치료 후 호중구감소증 이력이 있었던 환자에게 항암치료 다음날 예방 목적으로 투여합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예방 목적으로 2세대 G-CSF 투여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김상운: 2세대 G-CSF의 가장 큰 장점은 어떤 점인가요?

장하균: 1세대 G-CSF는 반감기가 3~4시간으로 짧아서 치료 목적으로는 사용 가능하지만 예방 목적으로 투여하기는 어렵습니다. 반면, 2세대 G-CSF는 작용시간이 길어서 항암치료 며칠 후에 발생하는 호중구감소증 예방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박정열: 2세대 G-CSF는 호중구감소증 예방에 효과적이므로, 호중구감소증으로 인한 FN, 패혈증 등의 합병증 발생을 줄이고, 합병증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증상을 약화시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호중구감소증으로 인한 항암요법의 지연 및 용량 감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