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장 배하석 교수(이대목동병원 재활의학과)
좌장 배하석 교수(이대목동병원 재활의학과)

‘PDRN/PN의 최신 지견’에 관한 내용으로 ABM이 진행됐다.

이번 ABM에는 배하석 교수(이대목동병원)를 좌장으로 심성은 교수(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최봉춘 원장(세연마취통증의학과), 김완호 원장(김완호정형외과)의 발표가 있었다. 본지는 이날의 강연 내용을 요약 정리했다.

DOT™ PDRN/PN의 기술력

심성은 교수(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심성은 교수(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심성은 교수(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마취통증의학과)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polydeoxyribonucleotide, PDRN)와 폴리뉴클레오타이드(polynucleotide, PN)는 연어의 생식세포에서 추출해낸 DNA 조각으로 조직재생과 염증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DRN과 PN은 천연물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동일한 성분이더라도 제조하는 가공 방법에 따라 효과와 품질에 차이가 있다. DOT™ (DNA Fragments Optimizing Technology)는 천연물 유래 원료인 어류에서 추출한 DNA를 이용하여 인체 사용 목적에 최적화한 독보적인 기술력으로 인정받았다.

DOT™ PDRN은 의약품으로서 조직재생, 항염, 성장인자 분비 촉진 등의 특징이 있고 빠른 흡수 및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OT™ PN(제품명 콘쥬란®)은 인체 삽입 시 지지체 역할, 수분 보유 능력의 특징이 있으며 중장기적 유지력과 물리적 성능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점도 100-300 Pa∙s, 탄성 50-250 Pa∙s로 수치상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반면, 유사 제품의 점도 수치는 이보다 낮고 탄성 수치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즉, 같은 PDRN/PN이라고 하더라도 DOT™ 기술력에 의해 점도와 탄성의 차이가 있다. 실제로 37℃에서 180 RPM으로 13분간 진동 후 퍼짐 정도를 측정한 실험에서 DOT™ PN이 유사 제품 대비 적게 퍼짐을 확인했다.


다양한 통증 부위에서의 PDRN의 임상적 적용

최봉춘 원장(세연마취통증의학과)
최봉춘 원장(세연마취통증의학과)

최봉춘 원장(세연마취통증의학과)

DOT™ PDRN 제품의 효과에 대한 연구들을 통해 다양한 통증 부위에서 스테로이드 대체제로서 PDRN의 사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KPS Annual Meeting에서 요추 척추관 협착증 환자를 대상으로 비스테로이드 대체제인 PDRN의 안전성과 효과를 확인한 연구가 발표됐다. DOT™ PDRN을 2주 간격으로 경추간공 주사(transforaminal injection, TFI)로 3회 투여한 군과 DOT™ PDRN을 2주 간격으로 1회 및 생리식염수 2회를 TFI로 투여한 군, 그리고 생리식염수만 3회 투여한 위약군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PDRN을 주사한 두 군 모두에서 위약군 대비 통증 감소 및 기능 개선이 확인됐고, 트레드밀(treadmill) 검사에서도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만성 극상근 건병증 환자에서 PDRN 사용 관련 연구에서는 1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에도 치유되지 않은 환자를 대상으로 DOT™ PDRN과 1% 리도카인(lidocaine)을 초음파유도하 병변 부위에 1주 간격으로 총 3회 주사했다(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17). 연구 결과, 대조군 대비 투여 후 3개월째 어깨 통증 및 장애지수(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와 통증 수준(visual analogue scale, VAS)의 유의한 개선 효과 및 진통제 사용량 감소 효과를 확인했다<그림 1>

이러한 결과들은 척추관 협착증 및 극상근 건병증 치료에 DOT™ PDRN이 효과적이며 스테로이드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 DOT™ PDRN을 스테로이드 주사의 대체 치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림 1. 만성 극상근 건병증 환자에서 PDRN 투여 후 통증 및 장애지수
그림 1. 만성 극상근 건병증 환자에서 PDRN 투여 후 통증 및 장애지수

1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에도 치유되지 않은 족저근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DOT™ PDRN을 초음파유도하 병변 부위에 1주 간격으로 총 3회 주사했고, 대조군에는 스테로이드와 리도카인을 1회 투여한 연구가 진행됐다(Foot and Ankle Surgery. 2020).

연구 결과, 두 군 모두 투여 후 6주째 기능 및 삶의 질 개선이 확인됐고, 통증이 꾸준히 감소해 6개월째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해 DOT™ PDRN의 스테로이드와 유사한 통증 감소 및 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손목질환 환자는 지난 2년간 20% 이상 증가했는데, 손목터널증후군에 스테로이드 주사는 효과적이지만 부작용이나 당뇨병 환자에서의 혈당 상승  우려로 사용이 제한적이다.

손목터널증후군 환자에게  DOT™ PDRN을 초음파유도하 수근관(carpal tunnel) 내에 1주 간격으로 총 2회 투여한 결과, 투여 후 1주째부터 통증 자각증상 평가(Boston Carpal tunnel syndrome questionnaire, BCTQ), 통증 점수(numeric rating scale, NRS), 정중신경단면적(cross-section area, CSA) 지표 모두 유의한 개선을 보여 통증 및 기능 개선을 확인했다(Medicine (Baltimore). 2019).

DOT™ PDRN이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에 효과적이며, 동시에 당뇨병 합병증 등으로 스테로이드 주사 사용이 제한적이던 환자에게 대체 치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추가로 여러 확증 임상을 통해 다양한 부위의 통증에서 DOT™ PDRN을 스테로이드 주사의 대체 치료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연구 중이다.


무릎 골관절염 환자에서 DOT™ PN의 임상 연구

김완호 원장(김완호정형외과)
김완호 원장(김완호정형외과)

김완호 원장(김완호정형외과)

PN은 국내에서 관절 부위의 기계적 마찰 감소 효과 등의 적응증을 가진 의료기기로 등록되어 있다. 관절강 주입 시 PN은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보다 분자량이 커서 높은 점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HA와 DOT™ PN을 비교한 임상 연구에서는 무릎 골관절염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DOT™ PN과 HA 1회 제형, HA 3회 제형을 각각 30명에게 투여하여 비교 평가했다. 일차 유효성 평가변수인 베이스라인 대비 16주째 체중부하 시 통증에 대한 VAS 변화를 관찰한 결과, DOT™ PN 투여군은 HA 투여군 대비 16주째 VAS 수치의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그림 2>.

이차 유효성 평가변수인 K-WOMAC  (Korean version of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scale), EQ-5D (Euro-quality of life-5 dimension)에서도 HA군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안전성 부분에서는 HA와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림 2. 체중부하 시 VAS 수치 변화
그림 2. 체중부하 시 VAS 수치 변화

무릎 골관절염 환자에서 DOT™ PN과 HA 3회 제형을 비교한 또다른 연구에서는 총 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HA 3회 제형과 DOT™ PN을 투여했다. 연구 결과, 베이스라인 대비 16주째 체중부하 시 통증에 대한 VAS 수치가 두 군에서 유사하게 감소했다. 또한 이차 유효성 평가변수 및 안전성 평가에서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 

DOT™ PN 3-5회 투여 후 6개월 이후까지의 통증 감소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가 현재 진행 중이다. 연구의 중간 결과에 따르면 DOT™ PN을 투여한 1,050명 중 6개월 후까지 변화 관찰을 완료한 환자는 546명이었고, DOT™ PN 투여 후 VAS 수치의 감소 효과 및 6개월 후까지 VAS 수치 유지 효과가 관찰되었다.

연구자평가(clinical global impression, CGI), 환자평가(patient global impression, PGI)에서도 투여 6개월 후 개선된 비율은 각각 77.8%, 75.6%로 보고되어 통증 완화 및 관절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Discussion  

Q. PDRN 또는 PN 투여 시 부종 등의 부작용이 생기는 사례가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A.
PDRN 또는 PN 투여로 부작용이 발생한다는 것은 적절한 부위에 제대로 투여하지 못했거나 불순물이 많이 함유된 제품일 수 있다고 간주할 수 있습니다. DOT™로 제조한 PDRN/PN 제품은 품질면에서 순도가 높기 때문에 이러한 
우려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Q. 경막외공간(epidural space)에 PDRN을 주사할 수 있나요?
A.
건(tendon), 인대(ligament)와 척추는 완전히 다른 영역이지만, 척추에 대한 연구도 여러 건들이 진행됐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Q. PDRN을 스테로이드의 대체 치료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A.
앞서 살펴보았지만, PDRN에 관한 연구들이 더 많이 진행되어 안전성이 확립된다면 PDRN을 스테로이드 대신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큽니다. 세계도핑방지기구(WADA)에서 스테로이드의 관절강내 주사, 건 주변 주사 등 국소 주사 사용을 허용했었으나 작년부터 사용을 금지했습니다. 스테로이드가 전신작용을 나타낸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 DOT™ PDRN이 대안이 될 수 있고, 당뇨병, 대사증후군 환자와 같이 스테로이드 사용에 우려가 있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리도카인 없이 PDRN 단독투여만으로도 통증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요? 
A.
기존에 보고된 만성 극상근 건병증 환자 관련 연구에서는 DOT™ PDRN과 리도카인을 병용투여했습니다. 개인적인 경험상 윤활낭염(bursitis) 치료 시 DOT™ PDRN을 주 1회, 3주 간 단독투여했을 때 10명 중 8-9명에서 통증 감소 효과를 보였기 때문에 리도카인을 함께 투여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리도카인은 장기간 사용 시 연골독성에 주의해야 하지만, DOT™ PDRN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이러한 부작용 우려가 적고 지속적으로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이 장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Q. HA와 비교하여 PN의 차별성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A.
개인적인 경험상 HA보다 PN의 효과가 꽤 오래 지속되는 것 같습니다.

A. 저는 환자들에게 PN을 투여할 때, HA는 부드럽게 만드는 효과만 있다면 PN은 항염증 효과 등으로 관절의 환경을 좋게 만든다고 설명합니다.

Q. DOT™ PN 사용이 가능한 적응증은 무엇이 있나요? 
A.
체중부하 관절(weight-bearing joint)인 발목 쪽에 DOT™ PN이 효과적이라고  보고, 비체중부하 관절(non-weight bearing joint)에는 PDRN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A. 엉덩이 쪽에도 사용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무혈관 괴사(avascular necrosis, AVN) 환자의 경우 중증으로 악화되기 이전에 줄기세포 치료 등 다양한 치료를 시도할 때 PDRN 및 PN을 함께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