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안미선 교수팀, 연구 결과 발표
70세 이상 고령에서 혈전색전증 발생 위험 3.07배 높아

왼쪽부터 안미선, 최진혁, 김태환 교수.
왼쪽부터 안미선, 최진혁, 김태환 교수.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2~3기 위암 수술 후 보조항암화학요법을 받는 70대 이상 환자는 혈전색전증을 특히 유의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는 국제위암학회가 발행하는 Gastric Cancer(IF 7.4) 온라인판에  ‘Thromboembolic events in patients who received adjuvant chemotherapy for gastric cancer: a single-center real world study(보조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위암 환자의 혈전색전증 발생: 단일기관 실제 임상자료 분석)’ 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아주대병원 안미선 교수팀(최진혁·김태환 교수, 혈액종양내과)은 2013년 1월~2020년 6월 근치적 수술 후 위암 2기 또는 3기 진단을 받고, 카페시타빈+옥살리플라틴 병용요법 또는 S-1으로 보조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은 611명을 대상으로 치료 중 또는 치료 후 1년 이내의 혈전색전증 발생 빈도와 위험인자를 분석했다. 

한국을 포함해 동아시아 국가는 2~3기 위암은 위절제술 후 1년 동안 S-1 또는 6개월 동안 카페시타빈+올살리플라틴 병용요법이 표준 치료다. 

연구 결과, 전체 대상자 중 3.3%(20명)에서 혈전색전증이 발생했다. 이 중 19명은 S-1 치료군이었고, 가장 많이 발생한 혈전색전증 유형은 뇌경색과 폐혈전색전증이 각각 5명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 혈전색전증의 발생 위험 요인은 여러 임상 소견 중 △고령(70세 이상) △S-1 △고혈압 등이었다. 다변량 분석 결과에서는 고령이 독럽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자세히 보면, 70세 이상 환자의 경우 70세 미만 환자에 비해 혈전색전증 발생 위험이 3.07배 높았다.

혈전색전증 발생률은 70세 미만 환자가 1.6%였던 데 비해 70세 이상 고령환자에서는 7.8%로 차이를 보였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현재 표준치료인 S-1 또는 카페시타빈+옥살리플라틴 병용요법을 받은 환자만 대상으로 분석한 최초의 결과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안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보조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위암 환자의 혈전색전증 발생률은 고식적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전이성 또는 재발성 위암 환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양상을 보였다"며 "하지만 보조항암화학요법 시작 전 환자에게 혈전색전증 발생 위험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70세 이상 고령 환자의 경우 8%라는 무시할 수 없는 발생률을 보인 것을 고려할 때 치료 중 또는 치료 후 일정기간 혈전색전증 발생 여부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