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박성지 교수 연구팀, 연구 결과 공개
좌심방 스트레인 수치로 재발 위험 예측 단초 얻어

왼쪽부터 박성지, 김지훈, 정동섭 교수.
왼쪽부터 박성지, 김지훈, 정동섭 교수.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흉강경 부정맥 수술 이후 좌심방 섬유화가 심할수록, 또 좌심방 배출 속도가 낮을수록 예후가 불량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박성지·김지훈 교수(순환기내과), 정동섭 교수(심장외과) 연구팀은 최근 부정맥 환자에서 흉강경 부정맥 수술의 예후를 가늠하는 지표로 심장초음파 수치 모델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심혈관 학술지와 일본심장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2012년부터 2015년 사이 삼성서울병원에서 심방세동으로 흉강경 부정맥 수술을 받은 128명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심장초음파, 경식도 심장초음파에서 측정한 좌심방 압력과 좌심방 배출속도 수치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진단검사 모델 유효성 확인을 위해 환자 좌심방 조직을 확보해 좌심방 섬유화 정도를 경증, 중등도, 중증 등 세 단계로 분류했다. 

이를 바탕으로 평균 5년 동안 심방세동 재발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경증 좌심방 섬유화군에서 23.3%, 중등도에서 51.4%, 중증 53.2%가 재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환자 부담이 큰 조직검사를 시행하지 않더라도 좌심방 스트레인 수치로 섬유화 정도를 나눌 수 있고, 이를 이용해 재발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단초를 얻었다"고 말했다.

부정맥 시술 전 시행하는 경식도 심장초음파 검사를 통해서도 재발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도 개발됐다. 

연구팀은 좌심방이 배출 속도에 따라 정상군(40cm/s 이상), 중간군(20cm/s 이상~40cm/s 미만), 저하군(20cm/s 미만)으로 나눠 각 군별 재발률을 비교했다. 

이번 연구에서 전체 환자의 3년 이후 정상복동 유지율은 65.3%였는데, 좌심방이 배출 속도 저하군은 심방세동 재발 위험이 6.11배, 중간군은 2.74배 높았다. 

또 수술 이후 심방세동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좌심방이 배출 속도는 21cm/s로 확인됐다. 이보다 낮으면 수술 이후 심방세동 재발률이 75%로 배출 속도가 21cm/s 이상인 군에 비해 높았다. 

연구팀은 "흉강경 부정맥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심방세동 재발에 관한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심장초음파 모델을 발견한 것은 치료의 새 이정표를 만든 것"이라며 "앞으로 흉강경 부정맥 수술의 예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