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윤영호 교수팀, 코로나 발생 전후, 건강 상태 및 사회경제적 요인 분석
코로나 이후 낮은 정신사회적 건강, ‘월수입 및 최종학력’간 연관성 더 높아

사진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_정신건강의학과 윤제연 교수_한림대 인공지능융합학부 심진아 교수
사진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_정신건강의학과 윤제연 교수_한림대 인공지능융합학부 심진아 교수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코로나19(COVID-19)로 인해 가계월수입이 낮거나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들의 정신사회적 건강 불평등이 더 심각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윤영호 교수팀(윤제연 교수, 한림대 심진아 교수)이 2018년 및 2021년 성인 22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발생 전후, 주관적 건강 상태와 사회경제적·인구학적 요인 간 연관강도의 차이를 규명한 대규모 연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주관적 건강 상태와 사회경제적·인구학적 요인 사이의 연관성의 강도를 코로나 발생 전후로 비교하여 주관적 건강 저하의 고위험군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팀은 국민의 연령 및 성별 분포를 반영하여 표본 추출한 성인 총 2,200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통해 △신체적(정상 체력) 건강 △정신적(스트레스 대처 및 기분 안전성) 건강 △사회적(사회 기능 및 대인관계) 건강 △영적(자원봉사 및 종교활동) 건강에 대해 2018년(1200명) 및 2021년(1000명) 2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월 430만원 미만이 불충분한 ‘정신적 건강’에 대한 영향력

2018년 1.8배, 2021년 2.4배로 증가 

그 결과, 설문 참여자를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 상태를 질문한 결과 ‘건강 상태가 최고 또는 아주 좋다’고 평가한 응답은 코로나 이전에 비해 코로나 이후 정신적 건강(2018년 38.71%, 2021년 35.17%), 사회적 건강(2018년 42.48%, 2021년 33.28%)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연구팀은 설문 참여자들의 △사회경제적요인(최종학력, 가계월수입, 고용상태) △인구학적요인(성별, 나이, 결혼 여부, 거주지역, 종교 여부) 등의 항목에 대해 방문 설문을 조사한 후 2018년 및 2021년 이 항목의 분포 차이를 보정해 통계분석을 시행했다.

우선 코로나 대유행 전후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영적 건강 분포를 비교해 사회경제적·인구학적 요인과 주관적 건강 상태 간 영향력(odds ratio; 오즈비) 크기의 차이를 분석했다.

오즈비는 집단비교 시 특정 사건의 발생 가능성 차이가 유의미한지 그 정도를 검증하는 데 사용된다.

분석 결과, 코로나 대유행 후 낮은 정신사회적 건강에 대한 영향력이 코로나 이전에 비해 증가한 사회경제적 요인은 ‘가계월수입(3천달러 미만)’와 ‘최종학력(고졸 이하)’으로 확인됐다.

월 430만원(3천달러) 미만 가계월수입이 불충분한 ‘정신적 건강’에 대한 영향력은 약 1.8배(2018년)에서 약 2.4배(2021년)로 코로나 이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 430만원(3천달러) 미만 가계월수입이 불충분한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은 약 1.7배(2018년)에서 약 2.5배(2021년)로 마찬가지로 코로나 이후 증가했다.

가계월수입과의 연관성 증가 외에도 고등학교 졸업 또는 그 이하의 최종학력이 불충분한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 또한 약 2.3배(2018년)에서 약 2.6배(2021년)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가계월수입이 낮거나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의 정신적·사회적 건강에 대한 주관적 건강 악화 위험은 코로나 이전에 비해 코로나 대유행 기간 동안 더 강해진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정신건강의학과 윤제연 교수(제1저자)는 “코로나 대유행은 사람들의 일상생활뿐 아니라 건강상태 및 경제적 안전성의 유지에 큰 위협을 가져왔다”며 “이번 연구를 계기로 코로나 이후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국민의 정신사회적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 등이 시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교신저자)는 “경제적 격차로 인한 건강 불평등이 코로나 위기로 인해 더 악화할 것이라는 국민과 기업들의 우려가 실제 자료를 통해 확인됐다”며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건강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도록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우선적으로 재정적 및 사회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인 ‘BMC 공공보건(BMC Public Health)’ 최근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