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김기웅 교수팀, 784쌍을 2년마다 추적관찰
낮은 신체활동과 우울증 심화 ... 배우자 치매 발병 위험 2배 높아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국내 연구팀이 세계 최로로 배우자가 치매 상태이면 배우자도 치매에 걸릴 위험이 2배 정도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팀이 ‘한국인의 인지 노화와 치매에 대한 전향적 연구(Korean Longitudinal Study Cognitive Aging and Dementia, KLOSCAD)’에 참여한 60세 이상의 한국인 부부 784쌍을 대상으로 대기오염을 제외하고 조절 가능한 11가지 치매 위험 인자들을 2년마다 추적 조사했다.

배우자 치매로 신체활동 부족과 우울증 심화

연구 결과, 배우자가 치매인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치매에 걸릴 확률이 약 2배 높았다.

아울러 이번 연구에 참여한 부부들은 교육수준, 신체활동, 흡연, 외상성 뇌손상, 우울증과 같은 치매 위험 인자를 공유하고 있었고, 특히 배우자가 치매 환자인 경우 신체활동부족과 우울증 심화가 치매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 결과에 따라 치매 환자뿐만이 아니라 배우자에게도 인지장애와 우울증에 대한 교육과 정기검진, 그리고 부부의 신체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치매 환자의 경과를 개선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배우자의 치매 발병 위험을 낮추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기웅 교수는 “치매 환자의 배우자는 치매에 대한 경각심이 높고 치매 환자를 돌보기 위해 자신의 정신건강을 잘 유지하겠다는 동기가 매우 높다”라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진료 현장이나 치매 안심센터 등 여러 의료현장에서 치매 환자와 함께 배우자에게도 치매 발병 인자들에 대한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노년기의 신체활동 저하와 우울증은 치매를 유발하는 대표적 위험요소”라며, “치매는 완치 가능한 치료제가 아직 없어 예방을 위해 꾸준한 신체활동과 치료프로그램을 권장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학회인 ‘미국의사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하는 ‘JAMA Network Open’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