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차병원 이성환 교수팀, 기존 치료법 저항성 원인 규명
암줄기세포 RNA 기반의 맞춤형 표적치료 전략 제시

분당차병원 외과 이성환 교수
분당차병원 외과 이성환 교수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분당차병원(원장 김재화)  암센터 이성환 교수팀이 美 엠디앤더슨 암센터와 공동 연구로 기존 치료법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간암에 대한 암줄기세포 RNA 특성 기반의 간암 정밀 분류법과 맞춤형 표적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

이 교수팀은 난치성 간암에서 암줄기세포의 특성을 지닌 정밀 분자 아형을 분류했다.

정밀 분석 결과, 각각의 분자 아형에 따라 간암의 진행과정이 다르게 나타나는 사실을 규명했다. 또 각 아형별로 상이한 치료 저항성을 가지는 원인을 밝혀냈다.

간암 세포 중 RNA 전사체 발현 패턴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태생기 간 줄기세포(HS1) △간 기능을 갖추기 전의 전구단계 간세포(HS2) △간의 완전 기능을 갖춘 간세포(dHCC) 세 종류의 분자 아형으로 정밀 분류했다.

각 그룹별 상이한 분자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그룹별로 간암이 진화하는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생존율 분석 결과, 태생기 간 줄기세포 그룹(HS1)과 전구단계 간세포 그룹(HS2)이 성인 간세포 그룹(dHCC)에 비해 생존율이 낮았다.

A. 간암 환자 생존율 분석 결과, 태생기 간 줄기세포 그룹(HS1), 전구단계 간세포 그룹(HS2)이 간의 완전기능을 갖춘 간 세포 그룹(dHCC)보다 생존율이 낮음을 보였다.B. 간암 면역치료 반응 분석 결과, 태생기 간 줄기세포(HS1)그룹 17.6%, 전구단계 간세포(HS2) 그룹 17.7%로 간의 완전기능을 갖춘 간 세포 그룹(dHCC) 43.5%에 비해 현저하게 반응률이 낮았다.
A. 간암 환자 생존율 분석 결과, 태생기 간 줄기세포 그룹(HS1), 전구단계 간세포 그룹(HS2)이 간의 완전기능을 갖춘 간 세포 그룹(dHCC)보다 생존율이 낮음을 보였다.B. 간암 면역치료 반응 분석 결과, 태생기 간 줄기세포(HS1)그룹 17.6%, 전구단계 간세포(HS2) 그룹 17.7%로 간의 완전기능을 갖춘 간 세포 그룹(dHCC) 43.5%에 비해 현저하게 반응률이 낮았다.

특히 암 면역치료 반응에서 성인 간세포 그룹(dHCC)이 43.5%의 반응을 보인 반면 태생기 간 줄기세포(HS1)그룹 17.6%, 전구단계 간세포 그룹(HS2) 17.37%로 현저하게 낮은 면역치료 반응률을 보였다. 

이와 함께 메이요클리닉 연구팀과 공동 연구로 간암 환자의 혈청을 이용해 태생기 간 줄기세포(HS1) 그룹과 전구단계 간세포 그룹군(HS2), 두 종류의 정밀 분자 아형을 구분할 수 있는 혈액 바이오 마커도 개발했다.

연구팀은 각 정밀 분자 아형에 특화된 분자 신호경로를 찾았고, 각 그룹 별로 핵심 조절 인자를 발굴하여 이를 억제함으로써 간암 세포의 성장을 차단할 수 있는 표적치료 전략을 제시했다.

이성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난치성 간암 환자가 보이는 치료 저항성의 근본적인 원인을 분자 수준에서 암줄기세포 기반의 RNA 전사체 특징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며 "기존 치료법의 효과가 없는 난치성 간암 환자를 더욱 정밀하게 분류해 맞춤형 치료를 적용한다면 향후 난치성 간암의 진단과 치료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성환 교수는 간암 및 췌담도암의 유전체, 전사체, 후생유전체, 단백체, 대사체 등의 멀티오믹스(Multi-Omics) 데이터를 활용해 암 환자 정밀 분류와 분자 아형 기반의 맞춤형 치료전략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중개연구 기반의 정밀 종양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암 중개연구 관련 권위 있는 학술지 캔서 커뮤니케이션즈 (Cancer Communications, IF 10.392)에 최신호에 게재됐다.

한편 이 교수는 국가지정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의 '한국을 빛낸 사람들(한빛사)'에도 선정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