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박지윤 교수팀,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발병 빈도 분석
단태아 둔위 12.5%, 쌍태아 둔위 9.8%, 쌍태아 두위 신생아 0.7% 발병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박지윤 교수, 정형외과 박문석 교수(사진 오른쪽).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박지윤 교수, 정형외과 박문석 교수(사진 오른쪽).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이 거꾸로 태어난 아이는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검사를 받아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은 고관절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로, 태어날 때부터 고관절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해 관절의 모양이 변형되는 질환을 말한다.

발병률은 소아 1000명 당 2~3명꼴로, 확실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유전적 요인, 둔위 분만(태아가 머리가 아닌 엉덩이 쪽부터 먼저 나오는 분만), 자궁 내 압박 등이 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태내에서 자리 잡고 있는 태아의 자세 중 둔위가 강력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어, 태아가 둔위 상태로 태어났다면 반드시 생후 6주경에 고관절 초음파를 통해 고관절 상태를 점검해봐야 한다.

그 동안 일부 연구에서는 다태아 임신 자체가 단태아 임신보다 태아 주수 및 출생 당시 몸무게가 작기 때문에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자궁 속 태아의 자세
자궁 속 태아의 자세

반면에 또 다른 연구에서는 자궁 내 두 명의 태아가 자리 잡음으로써 좁은 공간으로 인해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을 오히려 증가시킬 수도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박지윤 교수, 박문석 교수 연구팀이 단태아에서 강력한 위험인자인 둔위가 쌍태아 임신에서는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살펴봤다.

이번 연구는 2013년부터 2018년까지 분당서울대병원 고위험산모·신생아통합치료센터에서 임신 23주 이후에 제왕절개로 분만한 총 491명의 신생아(단태아 둔위 152명, 쌍태아 둔위 204명, 쌍태아 두위 135명)를 대상으로, 쌍태아 여부 및 태아의 자세에 따른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의 발병빈도를 후향적으로 분석했다.

둔위가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빈도 높여

분석 결과, 단태아 둔위 신생아의 경우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의 발병 빈도는 12.5%, 쌍태아 둔위는 9.8%, 쌍태아 두위는 0.7%로 나타났다.

다변량분석을 통해 단태아와 쌍태아 모두 둔위인 경우, 그리고 여아인 경우에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쌍태아는 태아의 순서나 위치와는 상관없이 둔위인 자세 자체가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빈도를 높이는데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박지윤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단일 의료기관에서 비교적 많은 쌍태아 신생아를 대상으로 첫째와 둘째 태위의 다양한 조합에 대한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발생 빈도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저출산 현상과 더불어 난임 및 고위험 임신의 경우 보조생식술로 쌍태아 임신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따른 신생아 치료 대응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결과”라고 언급했다.

박문석 교수는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은 생후 3개월 이전에 진단될 경우 치료 방법이 간단하고 결과도 좋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태아의 둔위와 가족력은 매우 강력한 위험인자이기에, 둔위로 태어났거나 형제, 부모에게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이 있는 경우라면 반드시 생후 6주경에 고관절 초음파 검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에도 고관절 이형성증은 생길 수 있다”며, “독일, 오스트리아 등의 국가에서는 신생아 전체에 대한 초음파 선별 검사를 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도 향후 초음파 선별 검사가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소아정형외과학회지(Journal of Pediatric Orthopaedics)’ 최근호에 발표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