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김광일 교수팀, 웨어러블 기기 이용해 보행속도와 근감소증 분석
근감소증 참가자(1.12m/s) 근감소증이 없는 참가자(1.23m/s) 보다 유의하게 보행 속도 줄어

분당서울대병원 노인병내과 김광일 교수, 전남대병원 노년내과 강민구 교수(사진 오른쪽)
분당서울대병원 노인병내과 김광일 교수, 전남대병원 노년내과 강민구 교수(사진 오른쪽)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분당서울대병원 김광일 교수(노인병내과)와 전남대병원 강민구 교수(노년내과) 연구팀이 노인의 보행 속도와 근감소증이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독립적으로 보행이 가능한 50세 이상의 성인 남성 106명(평균 연령 71세)을 대상으로, 4주간 벨트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여 실제 보행 속도를 측정하고, 근육량과 근력 검사를 실시해 근감소증과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참가자의 총 21만 회 이상의 실제 보행 속도를 측정한 결과, 평균 일상생활 보행속도는 1.23m/s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유의하게 느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감소증이 있는 참가자는(1.12m/s) 근감소증이 없는 참가자(1.23m/s) 보다 유의하게 낮은 보행속도를 보였다.

보행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벨트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
보행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벨트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

또한, 근력 검사를 통해 근력이 낮은 참가자(악력<28kg)와 정상 근력을 가진 참가자를 구분해 보행속도를 비교해 보니, 근력이 낮은 참가자의 평균 보행속도는 1.15m/s, 정상 근력 참가자는 1.23m/s로 차이가 있었다.

근육량이 적은 참가자(골격근질량<7.0kg/m2)와 정상 근육 질량을 가진 참가자의 경우에도 각각 1.22m/s, 1.25m/s의 차이를 보이며, 일상생활의 보행속도가 곧 하지 골격근량과 유의하게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이번 연구의 교신저자인 김광일 교수는 “지금까지는 주로 검사실에서 1~2회의 단발성 측정이 이루어져 실제 보행속도를 정확하게 반영하기 어려웠지만, 이번 연구는 간편한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개개인의 실제 보행속도를 연속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 “일상에서 사용하는 벨트 형태의 기기를 사용해 사용자 스스로 보행속도를 확인할 수 있고, 실제 보행속도가 저하되는 경우에는 근감소증 관련 진료의 필요성을 인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보행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 화면
보행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 화면

실제로 이번 연구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A사의 스마트벨트를 이용했는데, 보행속도 이외에도 착용자의 허리둘레, 과식 및 활동 습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의 제1저자인 강민구 교수는 “보행속도는 노쇠의 주요 예측 인자이자 근감소증 진단 및 기능상태 평가에 있어 대단히 의미 있는 평가 도구”라며, “웨어러블 기기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는 보행속도뿐만 아니라 보행균형 등 노인 보행과 관련된 보다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를 장기적으로 축적해, 초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진료 모델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SCI 저널인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최근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