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 이상 유병률 8.4%…환자 수 20년마다 두 배 증가

2050년엔 환자 130~250만 명


지난 22일 열린 치매극복을 위한 정책 심포지엄에 참석한 노인들이 의료인들과 상담을 하고 있다. 
사진·고민수 기자


 보건복지가족부에 의하면 2005년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치매 유병률은 8.07%, 이를 기준으로 추산한 2008년 유병률은 8.4%로 42만1387명의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강물이 바다로 흘러들 듯 당연하게 환자수가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복지부는 앞으로 20년마다 2배씩 환자수가 증가해 2050년에는 13.17%의 유병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관동의대 명지병원 신경과 구본대 교수는 "치매임상진료지침 공청회"에서 여러 유병률 조사들이 각각 성, 연령, 대상선정, 치매진단 등에 대한 기준이 틀리기 때문에 결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국내 고령인구의 증가와 이에 따른 치매환자의 증가는 변하지 않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덧붙여 초고령사회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2050년에는 130~250만명의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치매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것은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로, 복지부 2008년 연구에서 알츠하이머병 유병률은 5.94%, 혈관성 치매는 2.04%로 전체 치매 중에서 70.7%, 24.4%로 나타났다.

 한편 구 교수는 전체 치매의 60~70%를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 이외에 약 30%에 해당하는 혈관성 치매는 예방할 수 있고 우울증 치매, 약물·독극물에 의한 치매, 내분비 이상에 의한 치매는 조기검진을 통해 발견될 경우 치료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치매조기 검진사업 전국 확대 계획

 구 교수는 치매환자의 증가가 단순한 유병률의 증가가 아니라 경제적인 부담을 늘리는 결과를 야기한다고 말했다.

  2004년 치매환자의 의료비는 1585억원으로 환자 1인당 연 798만원이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치매 간병인의 30%에게서 우울증이 발생했다는 통계는 경제를 비롯해 가정, 사회에도 여파를 미치고 있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는 예다.

 이에 보건복지가족부는 현재 치매관리를 위해 전국 196개 보건소와 155개 거점병원을 선정해 조기검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총 예산 16억원을 투자해 시행하고 있는 이 사업을 통해 2006~2009년 33만여명이 치매선별검사를 받았고 2만2000여명이 진단검사를 받았다.

 추후 복지부는 조기검진 사업을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생애전환기검진 및 건강검진과 연계해 진행할 계획이다.

 또 인지건강 프로그램을 개발함과 동시에 보건소에 있는 치매상담센터를 치매관리센터로 확장·운영하겠다는 안을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국가적인 치매관리사업은 다른 나라에서도 예를 찾아볼 수 없고 단기간에 검진율을 끌어올렸다는 점 또한 괄목할만한 성과라고 말한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조기검진 사업에 대한 문제들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 22일 열린 "2009 치매극복을 위한 치매정책 심포지엄"에서는 다방면에서 현재 치매관리 제도의 보완을 위한 논의가 있었다.

일반인 홍보·검진효율 향상 과제

 경기도 용인병원 윤종철 과장은 우선 아직 일반인들에게 치매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전달이 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노인의 약 40%가 치매를 노화의 자연스런 현상으로 이해하고 있고 70%는 치매가 유전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드물게 유발하는 질병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전체 치매환자의 3분의 1가량만 정식으로 진단받은 가운데 노인의 25%는 검사결과에 대해서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조기검진 사업이 일반 클리닉 검진에 비해 효율적이라는 근거가 없는 것도 문제로 지적했다.

 강북구 치매지원센터를 맡고 있는 고대 안암병원 신경과 박건우 교수는 지역자치단체 뿐만 아니라 종교 및 노인관련단체 등과의 협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같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같은 서비스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복지부 검진사업의 집중력이 떨어지고 인력과 비용이 낭비되고 있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이들과 함께 조기검진 사업의 집중력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효자병원의 한일우 원장은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치매는 진단 후 평균 10년, 기저질환이 없을 경우 15~20년까지 수명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치매 환자라는 이유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어리석은 병?…이름도 바꿔야

 이날 심포지엄에 참가한 치매 환자의 가족들은 "치매"의 병명 자체에 대한 문제를 지적했다. 나병이 한센병으로 개명돼 정착됐듯이, "어리석은 병"이라는 치매의 부정적인 이미지 개선을 위해서 병명이 바껴야 하고 이는 나아가서 노인에 대한 인식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한 원장은 치매환자 치료에 대한 지원이 개선되야 한다는 점도 지적했다. 현재 치매환자의 경우 병용투여할 경우 한 가지 약물에 대해서만 보험이 적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환자와 가족들을 위한 대중교통, 케어시스템 등 사회적 지원에 대한 부분도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10월 11~13일에 열리는 아시아치매학회 조직위원장인 한림대 한강성심병원 정신과 서국희 교수는 "진료지침으로 환자들을 진단, 치료할 수 있는 치매전문가가 많지 않다"고 지적하며 치매문제와 해결책에 대한 관심과 정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질적으로 이를 뒷받침해줄 수 있는 인재들이 많지 않고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이 없다고 지적했다.
▶도움말
서국희 한림의대 교수·한강성심병원 정신과
한설희 건국의대 교수·건국대병원 신경정신과


백신연구 진행 중·알츠하이머 치료제 곧 출시
치료 약물 실마리 보인다
다음달 11~13일 아시아치매학회서 실마리 기대

 현재 진행하고 있는 사업에 대한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서도 복지부가 치매조기검진 사업을 진행하는 이유는 아직 치매에 대한 명확한 치료법이 없기 때문이다. 이는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치료방법이 없는 상황에서의 조기검진은 의미가 퇴색될 수 있다는 의견의 근거가 되고 있다.

 치매가 뇌의 이상으로 인해서 발생한다는 것이 발견된지 30여년이 지난 지금, 치매 치료에 대한 연구는 어디까지 와있는가. 10월 11~13일에 열리는 아시아치매학회(ASAD 2009)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답이 어느 정도 제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백신

 엘란(Elan)사는 2000년 알츠하이머병 백신인 AN1792의 연구를 진행, 해마에 침착된 β-아밀로이드를 타깃으로 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에서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2002년에 시작된 인체 대상 연구에서는 다수의 뇌염 발생으로 인해 중단된 바 있다.

 이번 아시아치매학회에서 발표될 백신은 β-아밀로이드 단백을 타깃으로 하는 것은 같으나 생백신 방식에서 사백신으로 바꾼 것으로 β-아밀로이드 중화에 효과를 보였다. 초반 생백신 방식은 능동면역체계인데 비해 사백신 방식이 수동면역이라 주기적으로 접종해야 한다는 단점이 지적됐지만 아직 명확한 치료제나 백신이 제시되지 않은 가운데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생성물질을 차단했음에도 증상의 진행은 억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Lancet, 2008;372:1381) β-아밀로이드가 옳은 타깃인지 여부와  β-아밀로이드 생성을 차단하는 시기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한편 연구 초기 뇌염 사망자 발생으로 중단된 후 영국 사우스햄프턴대학(University of Southampton) 시빌 홀메스(Clive Holmes) 교수진이 백신 접종 후 생존자들을 추적한 결과 치매의 진행이 멈췄다는 보고가 있었다(Lancet. 2008;372:216-223).

 △치료제

 치료제로는 화이자(Pfizer)와 메디베이션(Medivation)이 3상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인 디메본(Dimebon)이 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다. 디메본은 다른 약물들과 다르게 미토콘드리아에 작용하는 기전으로 타 약물들이 1년여의 효과 지속기간을 가지는 것에 비해 18개월 동안 유지됐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함께 또다른 치매 유전자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tau 유전자를 억제하는 약물(anti-tau agent)인 PBT2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으로 높은 보호효과를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