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 최일선…예방 활동 강화 등 적극 나서야

 제주도에서만 가능했던 귤 생산을 최근엔 남부지역 여러 곳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대구의 사과가 강원도에서는 자라지 않을 것이라는 통념은 오래전에 깨졌다. 우리나라 바다에서 볼 수 없었던 물고기가 잡힌다는 소식은 이제 새로운 뉴스도 아니다.

 우리나라를 비롯 세계는 지금 기후변화로 상징되는 "환경" 위기에 직면해 있다. 연이은 기상재해를 유발하고 생태계 질서를 근본적으로 뒤흔들며 인류의 생존까지도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따라 각국들은 자원의 효율적·환경 친화적 이용에 국력을 집중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명박정부가 적극 추진하고 있는 "녹색성장"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에너지의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세계 11위의 에너지 사용량과 9위의 온실가스 발생량 국가인 우리나라는 기후변화 문제가 심각해 질수록 경제적 부담 등 우리가 안게 될 문제는 상상 이상이 될 수밖에 없어 크게 우려된다.

더군다나 올 12월에 열릴 코펜하겐 기후변화 협약회의를 앞두고 온실가스 감축이 주요 현안이 되고 있으며, 2012년 이후 폐수 슬러지의 해양 배출이 불가능하도록 한 런던협약이 발효되는 등 환경문제는 이제 국가정책이나 기업의 주요 경영이슈가 되고 있다. 여기엔 의료계도 예외가 될 수 없다.

 본지가 창간 8주년을 맞아 특집 주제로 "그린"을 선택한 것은 이같은 환경변화가 국민들의 건강을 해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최일선에서 국민건강을 돌보고 있는 의료계가 환경 재앙을 막는데 앞서 역할을 해 줄 수 있기를 기대해서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시작된 경기침체가 뚜렷한 회복국면을 보이지 않는 가운데 환경문제는 국가나 기업 차원에서는 추가적 부담으로 인식할 수 있지만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이 정책은 목적과 방법을 두고 부정적인 그룹들도 있지만 많은 국민들과 의료인들이 지구 온난화로 인한 환경이슈에 적극 대응하고 경기 침체 극복의 방안으로 대부분 적절하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

 녹색산업은 저탄소 배출 관련 산업, 신·재생에너지산업, 친환경부품소재산업, 녹색서비스산업, 자원재활용 관련 산업, 고효율 장비 등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에너지와 공해요소를 줄이고 자원 재활용 산업도 통상적으로 포함된다.

 "환경"과 "성장"의 두 가치를 포괄한 것으로 기존의 경제성장 패러다임을 "환경친화적"으로 새로이 성장동력화하겠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강점인 IT·BT·NT 기술을 녹색기술과 연계하거나 의약계와 연결할 경우 고부가가치 "지식집약형" 산업구조로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불확실성이 크고 투자 회수기간이 오래며, 외부효과가 큰 산업의 특성상 성공 가능성은 미지수다. 이를 반영하듯 프로젝트가 명확하지 않고 사업화 가능성이나 경제성 평가 능력이 제한적이라는 지적 등으로 금융지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6일 "녹색기술인증제", "녹색기업 확인제", "녹색인증협의체"를 도입키로 했으며, 핵심 녹색산업을 선정, 집중 육성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WHO도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병원의 7가지 목표로 에너지 효율성, 그린건물, 대체에너지, 수송, 음식, 폐기물, 물 등을 제시하고 의료계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하고 있다. 병원에서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아껴쓰고 재사용하여 환경을 지키자는 것으로 질병치료에 국한하지 않고 예방에 적극 나서라는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WHO의 참여 요청을 감안하지 않더라도 나와 가정, 사회, 국가 그리고 지구촌의 녹색건강을 위해 의료계가 먼저 나서야 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