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창 일할 나이에 병상서…국가 손실을 막아라

 심혈관질환은 커다란 국가적 손실을 초래하는 주요 질병이다.
본지는 새해를 맞으며 이에 적극 대처하자는 취지로 "국가심뇌혈관질환 관리 어떻게 진행되나" 특집을 마련했다. 이와 관련 이번 호와 다음 호에 걸쳐 심혈관질환과 뇌졸중의 최신지견을 주제로 한 지상연수강좌도 준비했다.

 심뇌혈관질환은 심혈관·뇌혈관질환을 포괄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허혈성심질환과 뇌졸중을 의미한다. 이들 두 질환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중 암에 이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 2005년 인구 10만명당 사망률은 뇌혈관질환은 64.3명(3만1300명), 허혈성심질환은 27.5명(1만3400명)으로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은 91.8명이었다.

 이는 전체 사망의 약 18.2%에 달하는 것. 그러나 고혈압성 질환과 당뇨병을 포함한 포괄적 개념의 심뇌혈관질환은 전체 사망의 27.2%로 암보다 조금 더 높아진다. 사망자 세 사람 중 한 사람은 심뇌혈관질환이 원인인 셈이다.

 2007년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에서는 인구 10만명당 암이 137.5명으로 가장 높고 뇌혈관질환 59.6명, 심장질환 43.7명, 당뇨병 22.9명, 고혈압성질환 11명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암은 모든 부위별 암이 합해진 것으로 질환별로 보면 뇌혈관질환이 49.6명으로 가장 높고 심장질환 43.7명, 폐암 29.1명 순이다.

 의학발전과 응급의료체계 개선 등으로 뇌혈관질환은 최근 10년 사이 전세계적으로 줄어드는 추세에 있으나 우리나라는 사망률 감소·발생률 증가라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1996년 74.7명(인구 10만명당)에서 2006년 61.4명으로 줄었지만 발병률은 1995년 161명이던 것이 2003년 2007명으로 지속적인 증가세에 있다. 2007년 유병률은 56명이다.

 반면 허혈성심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최근 20년간 급속히 증가했다.

 1983년 인구 10만명당 2.2명에서 2006년 29.2명으로 늘었다.

 OECD 회원국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편이지만 이들 국가에서는 줄어드는 대신 우리는 증가세라는 것이 문제다. 생활습관의 서구화, 고령화 등이 원인으로 인종별로 차이가 있어 각국이 하나의 가이드라인으로 예방·관리전략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두 질환은 대부분 가정이나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40대 이후 발생, 사회·경제적으로 손실이 크다.
 따라서 정부는 이같은 심각성을 절감하고 정책의 변화를 시도하게 된다. 첫 과제로 2006년 심뇌혈관질환 관리에 초점을 맞춘 "심뇌혈질환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국가단위의 심뇌혈관질환 중점정책은 이미 미국, 영국, 호주 등에서는 도입·운영되고 있는 것. 이제 암이나 정신보건을 집중적으로 다루듯 이 질환도 정부의 선택과 집중에 포함된 것이다. 이와 함께 세브란스병원을 뇌심혈관계질환 관련 선도형 연구중심병원으로 선정, 5년간 225억원을 투입해 진단과 치료기술 개발에 나서도록 했다.

 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김영택 만성병조사팀장은 "단순히 심뇌혈관질환이라는 질병을 의료기관에서 치료토록 하는 것이라면 국가가 개입하지 않는다. 사회·경제적으로 엄청난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에 이 질환의 종합적 관리에 나선 것이다"라고 밝혔다.

 그는 심뇌혈관질환은 예방 가능성이 80%로 높지만 발병 시 완치 개념이 사실상 없고, 저비용 구조 질병이 고비용 구조로 이어지기에 의학계와 함께 적극 관리에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속적 치료 실천율은 50%가 채 안된다며, 의사-환자의 관계를 강화하고 공공과 민간이 함께 발전하는 방안을 찾게 된 것이라고 밝히고, 고혈압·당뇨·이상지혈증·대사증후군·흡연·스트레스 등은 주요 원인으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의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은 건강증진 종합대책,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 실시, 응급의료 인프라 강화를 내용으로 한 1·2·3차 예방과 심근경색·뇌졸중 발생, 사망, 장애 감소, 고혈압·당뇨병 지속 치료율 등 관리수준 향상을 통한 "국민건강과 사회·경제적 부담 경감"을 비전으로 하고 있다. 또 만성질환관리법, 감시체계 확대, 연구개발 투자 확대 등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도 핵심요소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