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의대, 환자 유전자 변이 측정결과 활용법 연구논문 발표
면역조절제 사용 이후 골수억제 등 부작용 발생 빈도 추적관찰
골수 억제 발생률·외래 방문 수·약제사용 중단 비율 모두 감소
[메디칼업저버 정윤식 기자] 국내 연구진이 궤양성 대장염이나 크론병이 주축을 이루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인 '퓨린계 면역조절제'의 부작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연구결과를 세계 최초로 발표해 화제다.
증상이 발현됐다 없어지기를 반복하는 염증성 장질환은 꾸준한 면역조절제 투여가 핵심 치료법이다.
하지만 면역조절제는 골수 억제로 백혈구와 중성구 등 혈액 내 세포 감소라는 부작용을 간혹 가져와 환자가 잦은 혈액검사 시행에 따른 불편함과 불안감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세브란스병원 천재희·김원호 교수팀(소화기내과)이 염증성 장질환 증상으로 퓨린계 면역조절제를 투여 받는 환자들의 불편함과 불안감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방안을 연구해 학계에 보고한 것.
이번 연구의 핵심은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유전자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면역조절제 사용 여부와 용량을 결정해 치료하는 것이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는 내용이다.
연구팀은 2016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염증성 장질환으로 서울 시내 5개 대학병원에서 진료 받은 환자들을 유전자 변이 측정군(72명)과 비측정군(92명)으로 분류하고 면역조절제 사용 이후 골수억제 등 부작용 발생 빈도를 추적·관찰했다.
연구 결과, 면역조절제 투여 이전에 환자의 유전자형을 분석해 치료계획을 세웠던 그룹에서는 12명(16.7%)의 환자만 골수 억제 부작용을 보였다.
유전자형 분석 작업이 없었던 그룹에서는 33명(35.9%)의 환자에게 골수 억제 부작용 증세가 나타났으며, 두 비교 그룹은 유의미한 수치 차이(p=0.005)를 보임으로써 유전자형 분석을 통한 면역 조절제 투여가 골수 억제 부작용을 예방함에 효과적임을 나타냈다.
유전자형 분석을 통한 면역조절제 투여는 외래를 방문하는 횟수와 부작용 때문에 약물을 중단하거나 투여 용량을 감소시키는 비율을 낮추는 효과도 있음이 밝혀졌다.
연구관찰 기간 사이에 유전자형 분석그룹은 7.8±3.2회, 유전자형 분석이 없는 그룹은 9.0±3.9회 외래를 방문했다(p= 0.052).
유전자형 분석그룹이 병원 외래를 자주 찾아와야 하는 불편함을 덜 겪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연구관찰 기간 사이에 유전자형 분석그룹은 72명 중 11명(15.3%)이 골수 억제 등 부작용 때문에 약물투여가 중단되거나 투여 약물 용량이 감소된 반면 유전자형 분석이 없는 그룹은 92명 중 31명(33.7%)을 나타냄으로써 유전자형 분석그룹에서의 약물치료 성적이 상대적으로 양호함을 보였다(P=0.007).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효과 예측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미래 정밀의학을 선도하고 약제의 스마트한 개별화 사용전략에 활용될 것으로 내다봤다.
천재희 교수는 "면역조절제를 사용하기 전에 개별 환자의 유전자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 여부와 용량을 계획해 적용함이 백혈구 감소 등 골수 억제 증상을 줄여 치료 효과를 높이고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밝혔다"며 "유전자 연구 결과를 임상에 활용해 효과를 입증한 것은 전 세계적으로 처음이라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소화기질환 국제학술지인 '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IF: 7.958)'에 'Genotype-based Treatment With Thiopurine Reduces Incidence of Myelosuppression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s(유전자 검사를 바탕으로 한 맞춤형 퓨린계 면역조절제 사용이 골수 억제 발생률을 감소시킴'이라는 제목으로 최근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