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A1c(당화혈색소)와 HbA1c 신속 검사의 의의

사람의 적혈구(붉은 피톨)안에는 혈색소(헤모글로빈)라고 하는 산소운반에 필요한 단백질이 들어 있다. 핏속에 포도당(혈당)이 높이 증가하면 포도당의 일부가 혈색소에 결합된다.

이렇게 포도당이 결합된 혈색소를 당화혈색소(HbA1c, glycated Hemoglobin)라고 하며 헤모글로빈 에이원씨(HbA1c)라고도 부른다.

적혈구의 수명은 약 120일이다. 우리의 몸 안에서는 매일 일부의 적혈구가 깨지고 한편에서는 그만큼 새로 만들어져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다.

그런데 한번 포도당이 결합되어 당화혈색소가 만들어지면 그 적혈구는 수명이 다 되어분해될 때까지 당화혈색소를 가지고 있게 된다.

혈당이 높은 채로 오랫동안 계속되면 적혈구 내에 있는 당화혈색소의 양도 증가된다.


HbA1c 검사는 혈당 조절에서 필수

혈당검사가 채혈 당시에 핏속의 당분이 얼마만큼 있는가를 알아보는 검사인 반면 당화혈색소는 평균 8~12주간의 혈당치를 반영한다.

공복시 혈당검사를 위해서는 적어도 8시간이상 금식하고 혈액검사를 하며, 식후혈당 검사는 보통 식후 2시간에 채혈하여 검사하지만 당화혈색소는 식사와 관계없이 채혈하여 검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비교적 장기간의 혈당치를 반영하게 되므로 최근 수개월동안 당뇨병이 잘 조절되고 있는지 알아보는 지표로도 이용된다.

실제로 당뇨병의 조절지표로 공복시와 식후 혈당의 정상화뿐 아니라 당화혈색소의 정상화도 필수적 목표이다.

참고로 HbA1c와 혈당과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표 2와 같다.

대략 HbA1c의 1% 상승은 평균 혈장 혈당 30mg/dL 상승과 견주어진다.


HbA1c와 만성합병증

당화혈색소는 합병증의 발생, 동반 여부를 파악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이미 대단위 연구 결과로 당뇨병의 합병증과 당화혈색소치의 관계는 명확히 밝혀졌다.


즉, 당화혈색소는 앞서 이른 바와 같이 합병증 발생을 잘 반영하는 지표이며, 바꾸어 말하면 당화혈색소치를 정상으로 유지하도록 혈당을 철저히 조절하면 할수록 합병증의 발생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장기간 혈당조절 평가의 기준으로 당화혈색소 값은 독보적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다.

앞서도 이른 바와 같이 혈장 포도당이 지속적으로 상승해 있으면 혈색소의 비효소적 당화도 증가하고 이러한 변화는 직전 2~3개월 동안의 혈당 정도를 반영한다.

당화혈색소는 모든 당뇨병 환자의 최초 진단 평가시는 물론 포괄적 당뇨병 관리를 해 가는 중에도 필수적으로 측정해야 한다.

다시 한번 강조하여 당뇨병 만성 합병증의 주요한 예견지표로서 중요하다.


신속 HbA1c 검사의 의의

당뇨병의 치료목표는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해 정상혈당을 유지하는 것이며 당뇨병이 조절되고 있는가를 알기 위해 빈번한 혈당 측정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혈당을 자주 재볼 수 없는 경우에 당화혈색소 검사를 이용하면 한 번 측정으로혈당의 평균치를 알 수 있으므로 혈당조절이 잘되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어려운 문제가 많다.

현재 HbA1c 검사는 채혈 후 수일 후에나 그 결과를 알 수 있어 병의원에 두 번 걸음을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곤란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분 이내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HbA1c 검사법과 기기의 출현은 시간ㆍ경제적으로, 기다리는 심리적 부담 등을 일소에 해소시켜주고 있다.

또한 간편 신속한 혈당측정은 지금까지 시간적 물리적 어려움으로 인하여 당연히 필수적으로 측정해야할 HbA1c 검사를 소홀히 하게 만들고 있다.

신속한 HbA1c 검사는 혈당조절을 보다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이끌것이다.

결론적으로, 당뇨병 관리의 필수적인 HbA1c 측정은 보다 강조되지 않을 수 없으며, 나아가서 HbA1c 검사를 더욱 실행하기 편하게 하는 신속하고 간편한 HbA1c 검사는 당뇨병 혈당 조절의 새로운 실제적 전기를 가져 올 것이다.

참고문헌
·ADA: Clinical Education series. Intensive Diabetes Management, 2nd ed., 1998
·ADA: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Diabetes Care 20(Suppl):55~56, 1997
·Kahn RC, Gordon CW: Joslin"s diabetes Mellitus. 13th ed:460~486, 1992
·Debra HJ: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2nd. ed.:181-223, 1996
 유형준: 포도당 측정과 당부하 검사. 당뇨병연구 워크샵 논문집 pp. 8~11, 1994
 유형준: 자기측정교육. pp. 99~102 In. 당뇨병교육, 유형준 저, 서울, 1998
 대한당뇨병학회: 자가혈당측정. pp. 38~42 In: 인슐린요법, 대한당뇨병학회 저,서울, 1998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